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진영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입니다.

김진영 전문가
중앙대학교
Q.  기타법인 대량매도, 프매•외인 대량매수의 의미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타법인이 대량 매도를 진행하고 프로그램 매매(PF매매)나 외국인 투자자가 대량 매수를 진행하는 상황에서 주가가 계속해서 하락하는 것은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황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1. 기타법인 대량 매도: 기타법인의 대량 매도는 주가에 부정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대량 매도는 해당 주식의 공급이 증가하고 수요를 능가할 수 있기 때문에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2. 프로그램 매매 및 외국인 대량 매수: PF매매나 외국인 투자자의 대량 매수는 주가를 상승시킬 수 있지만, 다른 요인에 의해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국인 대량 매수가 있더라도 기타법인의 대량 매도가 더 크다면 주가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3. 시장 여론 및 심리: 주가의 변동은 종종 시장의 여론과 심리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불안정한 시장 상황에 대해 우려하거나 패닉에 빠질 경우 주가 하락이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4. 기타 요인: 주가 하락의 원인은 시장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재무상태, 경영상의 문제, 산업 전반의 흐름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따라서 주가의 하락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종목과 시장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타법인의 대량 매도가 상장폐지 전 물량 매도를 의미하는지 여부는 해당 기업의 상황과 공시를 통해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입니다.
Q.  공산당 체제인 중국은 어째서 주식시장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국은 공산당 체제를 가지고 있지만, 1978년 이후 중국은 개혁 및 개방 정책을 채택하여 경제를 자본주의적 원칙에 기반을 두고 개방하고 성장시켰습니다. 이러한 개혁 정책의 일환으로 중국은 주식시장을 도입하였습니다.중국의 주식시장은 다른 시장경제 자본주의 국가의 주식시장과 몇 가지 중요한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1. 국가 개입: 중국의 주식시장에서는 정부의 개입이 상당히 큽니다. 중국 정부는 종종 주식시장의 안정을 위해 조치를 취하거나 시장을 조절합니다.2. 시장 특성: 중국의 주식시장은 더욱 자본주의적인 국가의 주식시장과 비교할 때 불안정하고 변동성이 큰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중국의 시장이 여전히 규제와 개입이 많은 국가의 특성을 반영합니다.3. 기업 구조: 중국의 주식시장에는 다른 시장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다른 기업 구조가 있습니다. 중국의 상당수 기업은 국영 기업이거나 정부의 영향을 받는 기업들이 많습니다.4. 외국 투자 규제: 중국의 주식시장은 외국 투자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가 중국의 주식시장에 진입하려면 특정한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이러한 요소들은 중국의 주식시장이 자본주의 시스템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자본주의 국가들의 시장과는 다르게 작동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Q.  중국에 있는 미국의 자본이 최근 어디로 흘러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상장 중국 ETF 투자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PGJ운용사:인베스코(Invesco) 시가총액:$157.98M 배당수익률:2.50% 운용수수료:0.70% 종목수:69개 상장일:2004년 12월 9일 주가:$23.92(2024년 1월 12일 종가) 'NASDAQ Golden Dragon China Index'를 추종하는 미국 ETF이며, 미국 상장 중국 주식들의 시가총액 가중 수익률을 추적하는 중국 ETF입니다. 홍콩 주식은 제외하고 있으며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미국 상장 중국 주식만이 포함된다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섹터별로는 임의소비재 및 통신 서비스 기업들의 비중이 각각 46.7%와 22.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형주와 중형주의 비중은 각각 93%와 5%이며, 성장주와 가치주의 비중은 각각 34%와 7%로 대형 성장주로 분류할 수 있는 미국 인덱스 펀드입니다. FLCH운용사: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시가총액:$1.19B 배당수익률:0.40% 운용수수료:0.65% 종목수:100개 상장일:2006년 5월 18일 주가:$25.30(2023년 12월 30일 종가) 'FTSE China A50 Index'를 추종하는 미국 ETF입니다. 중국 본토 주식시장에 상장된 대형주 50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금융업종이 3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경기소비재, 산업재, IT 업종이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대형주와 중형주의 비중은 각각 99%, 1%로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위 두 가지 ETF는 미국에 상장된 중국 ETF 중 대표적인 상품으로, 투자 전 해당 ETF의 특징과 장단점을 충분히 파악하고 자신의 투자 목적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중국 주식시장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Q.  숏이나 레버리지 ETF를 제외한 10년동안 미국에서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한 TOP10펀드는 어떠한 형태의 펀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모닝스타는 최근 '지난 10년간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를 소개하며 1위로 캐시 우드 대표가 운용하는 ARK 상장지수펀드(ETF)를 꼽았습니다. ARK ETF는 2020∼2021년 인기를 끌며 292억달러의 자금을 끌어모았으나 지난 10년간 약 143억달러의 손실을 낸 것으로 추산됩니다. 특히 2022년 약세장에서 34.1∼67.5%에 이르기까지 대규모 손실을 낸 것이 펀드 손실의 주범으로 꼽혔으며, ARK ETF는 지난해 상당히 반등했지만 2022년의 손실을 모두 회복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Q.  미국의 S&P 편입조건은 어떤걸 만족해야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S&P500 지수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첫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등록되어 있는 미국 기업이어야 합니다.둘째, 최근 4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해야 합니다. 즉 적자 기업은 편입이 어렵습니다.셋째, 최근 1년간 시가총액이 80억 달러(약 10조원) 이상이어야 합니다.넷째, 주식 유통 비중(public float)이 최소 50% 이상이어야 합니다. 즉 시중에 유통되는 비중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다섯째, 4분기 연속 매출과 수익성 지표가 S&P의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여섯째, S&P 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해야 합니다.이처럼 다양한 재무적, 비즈니스적 기준을 충족해야 S&P500 지수 편입이 가능합니다.
2062072082092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