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현재 중국의 알리바바 기업가치는 얼마나 하락한 상태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알리바바 그룹 홀딩스 ADR의 현재가는 78.23달러로 전일 대비 3.60달러 상승했습니다. 등락률은 4.82%이며, 시가총액은 1,990억 달러입니다. 원화기준 시가총액은 264조 359억원입니다.알리바바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창업자인 마윈 회장의 퇴진과 중국의 강도 높은 조사, 미국 수출 규제 등으로 사업이 위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알리바바의 기업가치는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현재까지도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에는 11번가의 재무적 투자자(FI)인 나인홀딩스컨소시엄이 11번가의 기업가치를 절반으로 낮추면서 매각을 추진하고 있으며, 협상 대상은 글로벌 직구 플랫폼인 큐텐과 중국의 알리바바로 알려져 있습니다. 큐텐과 알리바바 모두 국내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어 국내 오픈마켓 시장점유율 3위 11번가를 인수하면 국내 e커머스 시장에 지각변동이 예상됩니다
Q. 중국의 테무나 알리익스프레스는 대략 어느정도의 실적이 예상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국의 이커머스 기업 텐센트(테무)와 알리바바(알리익스프레스)의 최근 실적과 예상치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텐센트(테무)2022년 3분기 매출: 1439억 위안(약 27조원), 전년동기대비 2% 증가2022년 연간 매출 예상치: 약 5조6000억원2022년 연간 영업이익 예상치: 약 1조2000억원마진율: 20% 내외알리바바(알리익스프레스)2022년 3/4분기 누적 매출: 7976억 위안(약 152조원)2022년 연간 매출 예상치: 약 160조원2022년 연간 영업이익 예상치: 약 3조5000억원마진율: 2% 내외두 기업 모두 중국 내 이커머스 1, 2위 기업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텐센트는 높은 마진율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알리바바는 최근 수익성 제고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Q. 소프트뱅크가 보유한 비전펀드내 기업이 파산 위험이 있다고 하던데 어떤 기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소프트뱅크의 비전펀드에 속한 몇몇 기업들이 재정적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하죠.특히 최근에는 인도의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인 오라(OYO)가 파산 위기에 직면했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오라는 소프트뱅크의 비전펀드로부터 13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받았는데, 코로나19 사태 이후 사업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재정 악화가 지속되고 있습니다.이 외에도 소프트뱅크의 비전펀드 포트폴리오 중 일부 기업들이 유동성 위기에 처했다거나, 수익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정확한 파산 위기 기업을 꼽자면 아직 보도된 바가 없지만, 향후 오라를 제외한 다른 투자 기업들의 재무 상황도 주시할 필요가 있겠죠.
Q. 주요 의류나 스포츠기업들의 실적이나 매출흐름이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대표적인 의류 및 스포츠 기업으로는 나이키, 아디다스, 언더아머 등이 있습니다.나이키(Nike Inc) : 운동화, 의류, 모자 등을 판매하는 글로벌 스포츠용품 업체로, 2022년 7월 기준 시가총액은 약 1,555억 달러이며 최근 52주 최고가는 128.68달러, 최저가는 88.66달러입니다.언더아머(Under Armour Inc Class C) : 운동복, 운동화 등을 판매하는 스포츠웨어 업체로, 2022년 7월 기준 시가총액은 약 16억 9천만 달러이며 최근 52주 최고가는 10.97달러, 최저가는 5.86달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