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한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한솔 전문가입니다.
김한솔 전문가
안세회계법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세금·세무
경제
자격증
주식·가상화폐
2023년 4월 16일 작성 됨
Q.
상장폐지가 되면 거래소에 있는 블록체인 주소-> 즉 개인지갑에는 남아있는것이죠?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상장폐지되어도 거래소 지갑에 보관됩니다.그러나 상장폐지된다음에 재상장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어서 거의 대부분 거래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처분하는 경우가 많은듯 합니다. 최근 위X스가 기적적으로 회생하긴 했는데 매우 드문 케이스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4월 7일 작성 됨
Q.
미국 채권에서 20년물 관련 TMF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채권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입니다.채권은 정해진기간에 정해진금액으로 결재되는데 금리의 변동에 따라 현재가격이 변동됩니다. 원래는 주식보다는 훨씬 안정적인 자산으로 볼 수 있는데 최근 금리의 빅스텝이 아니라 자이언트스텝 등이 벌어져서 변동성이 주식 못지않았습니다만.. 그래도 주식보다는 변동성이 낮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식도 금리영향을 많이 받으니까요
경제동향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ESG 경영은 왜 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ESG는 지속가능경영이라는 측면에서 대두된 이론인데, 실상은 컨설턴트와 대학교수님의 농간이 한축입니다. ESG 등급을 의무화하겠다고 선진국 크트머리에 있는 나라들만 이야기하고 정작 인구많은 중국 인도는 동참도 하지 않은 이론이죠.. 우리가 환경파괴를 1 하면 미국은 50정도 하고 중국인도는 100이상 하는데.. 유효한 이론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경제동향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경제에 대해 제대로 예측하기란 불가능 하겠죠?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완벽하진 않지만 정교해질수는 있습니다.그리고 이론으로 정확히 설명하지 못하더라도 감성의 영역에서 설명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많이 학습하고 관찰하시면 됩니다.참고로 주식은 그래프를 보는 사람들이 수익률이 좋습니다.
연말정산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직장인인데 투 잡을 하려면 급여를 현금으로 받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솔 회계사입니다.기본적으로 회사의 사규를 참고하셔야 하고겸직은 당연히 불가능하고(이중취업)경업도 불가능조건을 건 회사가 많습니다. (동일업종 업무금지) 이외에 투잡을 하시는건 공무원이 아니라면 대부분 가능하긴 합니다만, 플랫폼이든 사업자든 등록후 투잡을 하시면 세효과로 인해 일하신 금액에서 정직하게 세금이 공제되기때문에 현금으로 받는것을 선호하시는게 일반적이긴 합니다.
경제동향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현재 대한민국이 불경기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수치적으로 해석하기엔 무리인것이 코로나시기에는 반도체활황으로 인해 GDP라든가 각종 수치들이 호경기를 나타내었지만 민간경제는 힘들었고 현재는 코로나가 호전됨에 따라 민간경제가 서서히 좋아지고 있는중인데 반도체 등 산업여파로 수치는 안좋은 상황입니다.자영업자 입장에서는 배달업종은 구매가 줄었고 오프라인은 늘어난 상황으로 보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주식 거래 시 팔아야 수익으로 인정되는거죠?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실현한 경우 소득으로 잡힙니다만, 대주주가 아닌이상 상장기업의 주식으로 인한 차익은 과세되지않습니다. 단, 비상장기업의 주식은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4월 3일 작성 됨
Q.
주식과 채권, 둘 중 어떤 것이 안전한 투자 수단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채권은 원금을 보장하기때문에 만기까지 기달리면 안정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증권입니다. 따라서 주식보다는 대부분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채권도 신용도가 낮은 고이율채권의 경우 디폴트위험이 있기때문에 모든 채권이 주식보다 안정적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경제정책
2023년 4월 3일 작성 됨
Q.
세금 인하와 세금 인상 중 어떤 것이 경제에 더 이롭나요?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단순히 세금만으로는 딱 정의내리기는 힘들지만대한민국에 한정한다면 세금인하가 경제발전에 더 효과적입니다.1. 사회가 부정부패가 만연하고 부의 재분배가 원활하게 작용하지못한다면 국가에 의한 개입에 의한 주도형 경제성장이 더 효율적이고 그렇다면 국가총생산을 어느정도 거두어들여야 정부정책이 효과가 있습니다.2. 그러나 성숙한 사회에서는 시장기능이 작동하기 때문에 굳이 개입하지 않아도 경제성장이 이루어지기때문에 세금은 적은편이 좋습니다. 특히 누진세를 적용하여 고소득자에게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정책은 조세정의에는 부합하나, GDP성장에는 악영향입니다. 그래서 초고소득자들은 해외유출이 일어나는경우도 많습니다.
경제정책
2023년 4월 1일 작성 됨
Q.
분리과세는 어떤것에해당되는지요?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개인은 종합소득세 / 법인은 법인세 테두리안에서 벌어들이는 소득은 과세대상에 해당하는 것이 원칙입니다.다만 일부항목에 대해서는 추적이 어렵거나 그 소득의 특성을 감안하여 최초 원천징수만 하고 종합소득세에 포함하지 않는 소득이 분리과세대상 소득입니다.2천만원 미만의 금융소득일용근로자의 노동소득복권당첨금슬롯머신 상금 등이 있습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