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김상규 전문가
(주)남부공항서비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다이캐스팅 금형 코어소재와 경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다이캐스팅 금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질은 STD 6, STD 61 이 일반적 입니다.다이캐스팅 특성 상 열처리의 변형이 문제가 되기에STD6, STD61 의 절삭성을 향상시키고미리 HRC 40-50 정도로 조절한 절삭성 합금 공구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실질적 데이터를 본다면열처리시 가열온도와 어닐링 온도는각각 1000∼1050, 800∼850 도 사이에서 진행되는데그에 따른 재질경도 HRC는인장강도 150 Mpa~ 650Mpa 까지 구간에서 측정 시HRC 최하 42 ~ 최대 55 라는 데이터가 산출됩니다.대신에 거기에 크롬, 텅스텐, 몰리브덴, 바나듐, 코발트 등을 조정한 개량강재도 많이 사용됩니다.특히치수 정도가 요구되는 금형과 절손이 문제가 되는 코어핀 등에는18Ni 계의 Maraging 을 사용합니다.코어 인서트 및 핀의 일반적 재질로는 H13, DAC, SKD61, DH31S, 8407, 8418, DAC55, W400 등이 사용 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비행기가 추락할 확률은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우선 확률부터 말씀을 드리자면보통 번개에 맞을 확률은 800만분의 1~ 1천만분의 1 정도로 극도로 낮은 확률이지요.통계가 보여주는 비행기 추락사고의 확률을 보면국제항공운송협회 자료에서 나타나는데상업항공기 300만회 운항 당 비행기 추락사고는 평균 0.25회 미만으로 나타납니다.즉 1천 7백만분의 1 ~ 2천 만분의 1 정도의 확률로 나타나는데요번개에 맞을 확률과 비교한다면번개맞을 확률보다는 절반정도 된다 할 수 있겠습니다.난기류에 의한 추락사고는 매우드뭅니다.항공기 자체 구조가 난기류 현상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습니다또한항공사와 기장은 상황에 대비한 철저한 훈련을 받으며 최신 기상정보 활용으로 현상이 예상되는 지역은 피하기위해 노력합니다.현대 항공기들은 난기류 현상 감지와 대응 가능한최첨단 기술들이 탑재되어 있어, 난기류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 합니다.따라서 급작한 고도 변경 및 심한 진동은 느낄 수 있으나항공기 안전성에 직접적 위협이 되진 않습니다.기계결함에 따른 추락사고 또한 드뭅니다.항공기 안전규정과 기술발전으로 미연에 방지되고제조사들은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기를 설계하고 있으며통제관은 비행기 운항을 면밀히 모니터링 함으로써 잔잔한 결함까지 상시조사를 합니다.운항 후엔 늘 정기점검이 실시되는데기체정비 - 육안점검/기체유보충/내외부 구성품 상태점검/ 구성품 작동점검/ 감항성 유지점검 을 시행합니다.이상으로 비행기 추락사고에 관련하여나열해 보았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선풍기를 사용하는데 모터 있는 부분에서 소리가 나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모터부위의 소음을 말씀주셨습니다.원인을 나열해 보면1, 먼지와 이물질 선풍기 모터 부분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면 마찰로 인해 소음발생 가능2, 부품의 마모 선풍기의 연식이 오래되었다면, 모터 내부 중간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을 용이하게 해주는 베어링 마모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베어링 내부 볼의 마모로 인한 소음으로 예상됩니다.3, 밸런스 안맞음 팬의 날개가 불균형하게 회전 시 진동으로 소음이 발생가능한데요 팬의 날개에 이물질이 붙었거나 날개자체가 변형 시 발생가능 합니다.소음문제 해결 방법을 나열해보면1, 청소 및 유지관리 전원차단 후 팬을 분해하여 부드러운 솔이나 진공청소기로 모터주변과 날개에 쌓인 이물질 제거 2, 윤활유 사용 전원차단 후 모터분해하여 베어링 위치 확인 후 윤활유를 도포합니다.3, 팬 날개 교체 팬 날개가 변형 및 손상되었을 경우 교체이 3가지가 개인이 해 볼 수 있는 방법이고그 중에 윤활유 사용을 위해 분해하는 과정이 가장 힘든데요.경우에 따라 모터 자체를 분해하기 힘든 구조도 있기에그런 경우는 전문가의 점검을 받는 수 밖에 없겠습니다.모터쪽 소음이 계속 커진다 하시니아마 베어링 문제로 예상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기계공학기술자는 어떤 전공을 졸업을 해야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쉽게 말씀 드리면기계공학 기술자 라고 확실히 대놓고 말하려면기계공학과 를 졸업하면 됩니다.여타의 다른 공학과라도 기계공학적 기술이 있고 관련 과목을 공부하면 기계공학기술자 라 할 수 있습니다단적인 예로 저는 공조냉동기계공학을 전공했기에 기계공학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으나 공기조화 냉동공학 쪽으로 전공이지 기계공학 전체 적인 분야의 전공은 한게 아니기에말씀하시는 기계공학전문가가 되려면전방위적으로 공부하는 기계공학과 출신이 가장 범용적이라 하겠습니다.기계공학과에서 배우는 분야는 너무 엄청나게 넓기에 사실 많이 힘들기도 한데요.기계공학 자체가 중세유럽부터해서 역사가 엄청오래된 학문이고근대화된 대학에서부터 교육하기 시작한 학문이기에관련 커리큘럼(교육과정)이 아주 잘 짜여져있고 전세계 어느대학이든, 거의 어디든 비슷한 상황입니다.기계공학은 기본적으로 4대역학 (동역학, 유체역학, 열역학, 재료역학) 에서 다루는 지식을 기본으로 합니다.거기에기계에 사용되는 재료가 어떤게 적절한가기계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가 를 배우는 것으로과거엔 산업현장/ 전자제품 공장 기계가 주류였다면현대에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공장자동화/ 스마트농업/ 자유주행 등 무수하게 많은 범위로 사용되는 학문입니다.굳이 대학에서의 커리큘럼까지 살펴본다면(대학 이전 교육과정에서 수학/ 미적분/ 기하학/ 물리학 정도는 습득을 해야하고)1학년일반물리, 미적분학, 통계학, 컴퓨터 프로그래밍, 공업수학12학년선형대수, 열역학, 유체역학, 동역학, 고체역학 , 공업수학2/3, 기계설계3학년기계제작, 공정설계, 수치계산 공학설계, 유체기계, 계측시스템설계, 기계공작, 열동력4학년시스템설계, 유체기계설계, 탄성학 설계, 동력기계설계, 자동제어, 융합기계설게, 기계역학, 수송기계설계, 탄성학, 계측공학, 공기역학등을 수강하는 과정으로 짜여져 있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공작기계 취급으로 판매하는 공장을 발견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전문적으로 판매하고 매물이 많은 곳을 컨텍해야겠지요인터넷으로 검색하는 게 가장 빠르지 않을까요??국내 최대 공작기계 판매 한다는국제기계상사경기도 시흥시 기계 유통 단지 있습니다.http://www.gjmc.co.kr/ 한국 산업기계 유통조합 이라는기계로 닷컴 은아예 기계판매사이트 들이다 모여있는 곳입니다.여기또한 시흥 한국기계유통 단지 에 있습니다https://gigyero.com/여기 두군데 정도면 더이상 찾을 필요도 없을 듯 한데요아니면아예 경기도에 한국기계유통 단지에 직접 가보시는 것도좋을 것 같습니다.
1861871881891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