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 김준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 김준태 전문가입니다.

김준태 전문가
동의대학교
미술
미술 이미지
Q.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김준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서 많은 프로그램을 사용하겠지만 간단하게는 포토샵을 통해서 그리고 태블릿PC를 통해서 간편하게 만들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오늘이 초복이잖아요~ 초복 중복 말복의 말의 유래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준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복의 복자는 엎드릴 복자로 1년 중에 가장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날로 여름의 기운에 가을의 기운이 세번 굴복한다 하여 삼복입니다 여 기서 엎드릴 복의 한자를 자세히 살펴보면 사람 인과 개 견이 합쳐진 모양을 띄우고 있 는데요 이는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더위에 굴복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죠!초복 유래는 처음 '초'와 엎드릴 복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상당한 더위로 인해 사람과 개 모 두 엎드려 있다는 뜻입니다 이 시기에는 무더위로 인해 기력을 잃어 일어서기도 힘들다는 의미를 담고 있죠 즉, 본격적인 더위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어느나라 언어 인지좀 알려주세요 동영상첨부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러시아어 같습니다.3년차라고 말할때 해석된 부분은 "3년차 입니다." 라고 해석된 부분이 있는데 3년 이라고 짧게 말했고 이 부분이 러시아어 사전에 3년 이라고 검색이 됩니다.답변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최초의 우체국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준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우편행정관서이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우체국으로 이름을 올리게 된 우정총국이 128년의 역사를 간직한 공간으로서 새로운 탄생과 더불어 고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열린 공간이자 국민과 함께 살아 숨쉬는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루치아노 파바로티는 어떤 서람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준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데나 출신인 이탈리아의 테너 가수. 프레니와 같은 고향이고, 같은 해에 태어난 데다가, 어릴 무렵에는 같은 유모에게 양육되었다고 한다. 만토바에서 캄포갈리아니에게 성악을 배우고, 1961년에 출생지에 가까운 렉지오 에밀리아의 아킬레페리 성악 콩쿠르에서 1위를 획득하고, 같은 해 렉지오 에밀리아의 시립 극장에서 《라 보엠》의 루돌프로서 데뷔했다. 그 빛나는 목소리는 즉시 주목을 끌어 1965년에 스칼라 극장에 데뷔했고, 그 후 순식간에 메트로폴리탄 가극장, 코벤트 가든 가극장, 빈, 뮌헨 등지로 국제적인 활동을 시작하기에 이르렀다. 1977년에 내한하여 리사이틀을 가졌다.파바룻티의 성질은 리리코로, 밝고 빛이 나는 성질 및 편한 고음역에 의해서 리리코 레지에로의 가벼운 여러 역도 특기로 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특히 목소리에 무게가 가해져서, 베르디의 드라마틱한 《일 트로바토레》와 같은 것까지 부르게 되었다. 도밍고만큼 히로익한 무거운 역은 할 수 없는 대신에, 《몽유병의 아가씨》나 《청교도》와 같은 가벼운 벨 칸토 오페라를 부르게 하면, 달리 필적할 가수가 없다. 레퍼터리는 매우 넓은데, 도니제티, 벨리니 및 베르디가 중심이며 푸치니에서는 《라보엠》, 《투란도트》등이 뛰어나다. 최근 베리즈모 오페라에서도 그 빛나는 목소리로 도전을 시작한 만큼, 이제부터도 더욱 기대되는 가수이다. 어떻든 1970년대를 대표하는 대가수의 한 사람이며, 도밍고, 크라우스, 카레라스와 나란히 현재 가장 뛰어난 이탈리아 오페라의 테너의 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1910년대 대한 독립 선언서와 기미 독립 선언서가 있는데, 작성자와 그 내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18년 음력 11월 만주ㆍ노령(露領)을 중심으로 당시 해외에 나가 있던 저명인사 39명이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글. 1918년 무오년에 선포되었다 하여 ‘무오독립선언서’라고도 하며, 작성자는 조소앙(趙素昻)이라고 한다.내용으로는먼저 우리 대한은 완전한 자주독립국임과 민주의 자립국임을 선포하고, 우리 대한은 타민족의 대한이 아닌 우리 민족의 대한이며, 우리 한토(韓土)는 완전한 한인의 한토이니, 우리 독립은 민족을 스스로 보호하는 정당한 권리를 행사 하는 것이지 결코 사원(思怨)의 감정으로 보복하는 것이 아님을 밝히고 있다. 또한 일본의 병합수단은 사기와 강박과 무력폭행 등에 의한 것이므로 무효이니, 섬은 섬으로 돌아가고 반도는 반도로 돌아오고, 대륙은 대륙으로 회복하라고 하였다. 그리고 2천만 동포들에게는 국민된 본령이 독립인 것을 명심하여 육탄혈전함으로써 독립을 완성할 것을 요구하였다기미독립선언서1919년 3.1 운동 때 발표된 한국(조선)의 독립을 세계 만방에 알리기 위해 작성된 장문의 선언서. 3.1독립선언서(三一獨立宣言書)라고도 한다. "오등(吾等)은 자(玆)에 아(我) 조선(朝鮮)의 독립국(獨立國)임과 조선인(朝鮮人)의 자주민(自主民)임을 선언(宣言)하노라"[1]는 구절로 널리 알려져있다.민족대표 33인의 공동명의로 발표되었으며, 초안을 쓴 사람은 최남선,[2] 대원칙을 세운 사람은 손병희라고 한다.[3] 손병희가 독립선언서를 고쳐 쓰려고 했으나 시일이 얼마 안 남아 대원칙만 썼다고 한다. 처음에는 여러 단체에서 서로 자기 단체의 이름을 먼저 올리겠다고 격렬히 싸우자, 기독교계통으로 참여한 이승훈의 훈계로 결국 연장자이자 주최자인 손병희가 대표로 첫 번째로 실렸다. 그리고 만해 한용운의 주장으로 뒷부분에 '공약 3장'이 추가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 역사상 가장큰 도서관은 어디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준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립 세종도서관입니다.2013년 12월 개관을 하였구요!세종특별자치시 다솜3로 48에 위치해있습니다.휴관일매월 둘째주, 넷째주 월요일 / 일요일을 제외한 관공서의 공휴일운영시간주중 09:00~21:00(어린이자료실 09:00~18:00), 주말 09:00~18:00
역사
역사 이미지
Q.  베이글빵의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이글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지만, 여러 설과 기록을 살펴 봤을 때 동유럽에 거주한 유대인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추정됩니다.고대 이집트(BC4000~BC332) 시대에, 가운데 구멍이 있는 ‘카악(ka’ak)’이라는 단단한 크래커가 있었는데 이 카악이 고대 로마를 거쳐 중세 프랑스로 전해졌고, 프랑스에서 끓는 물에 반죽을 익힌 후 구워내는 빵으로 변형되었는데, 이 빵은 아니스(anise) 향이 첨가된 것이었다. 이 빵이 다시 러시아와 폴란드로 건너가 베이글의 모태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모르데카이 코소베르(Mordecai Kosover)가 『이디시 메이콜림(Yidishe maykholim, 1958)』에 기록한 바에 따르면, 베이글에 대한 최초의 문헌상 기록은 1610년 폴란드 크라쿠프(Cracow)의 유대인 집단에서 제정된 법령이라고 한다. 그 기록에는 ‘아이를 낳은 산모, 산파, 아이를 낳는 자리에 있던 여자들에게 베이글을 선물로 주어도 된다’라고 적혀 있다고 합니다.베이글의 유래에 관한 다른 설로는, 168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폴란드의 왕 얀 소비에스키(John III Sobieski)가 투르크 족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등자(말을 탈 때 발을 디디게 되어 있는 것) 모양을 본떠 만든 빵이 베이글의 시초라는 것이 있는디 1610년 폴란드 크라쿠프의 법령으로 미루어 볼 때 이미 베이글 모양의 빵은 존재했으나, 프랑스와 독일 등의 서유럽에 거주하던 유대인들이 종교적인 차별을 받으며 쫓겨날 때 이들을 받아준 폴란드 왕에 대한 감사를 표하기 위해 이런 이야기가 생겨난 것으로 보입니다.동유럽 유대인의 속담에 ‘베이글 세 개는 먹어야 배가 부르다’라는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 초기의 베이글은 크기가 작았던 것으로 여겨지고 미국의 렌더스 베이글(Lender’s Bagel)이 1950년대에 냉동 베이글 유통을 시작했을 당시만 해도 베이글 한 개의 무게는 60g 내외였다. 동유럽의 가난한 유대인들이 반죽을 아끼기 위해 빵 가운데에 구멍을 냈다는 이야기도 있다. 오늘날 유통되는 베이글 1개의 무게는 90g~150g 정도됩니다.19세기 후반 동유럽 유대인 이주민들이 미국과 캐나다로 베이글을 전했다. 비교적 유대인 인구가 많았던 미국 뉴욕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베이글은 급속히 퍼져 나갔고 뉴욕에선 제빵사들이 긴 막대에 수십 개의 베이글을 꿰어 고객에게 배달하는 진풍경을 연출하기도 하였습니다. 몬트리올의 베이글(bagel 또는 beugel)은 뉴욕 베이글에 비해 크기가 작고 구멍이 더 크고 또한 벌꿀이나 설탕을 넣은 끓는 물에서 반죽을 익히기 때문에 뉴욕의 베이글보다 더 단 맛이 나며 마무리 단계에 깨나 양귀비 씨(poppy seed)를 뿌리기도 힙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폰노이만의 천재성에 대한 일화
안녕하세요.수학적으로는 8세에 미적분을 이해하고 12세때 르베즈그 측정이론을 독자적으로발견하여 수학의 기본 개념을 세웟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세계적으로 예술세계를 인정받으면서도 성공한 음악가는 누구일까요?
성악에서는 세계 3대 테너로 알려져있는루치아노 파바로티호세 카레라스플레시도 도밍고가 있습니다.루치아노 파바로티같은 경우 미국 이탈리아등 세계 각국에 호화로운 별장과 더불어 페라리사에서 거구인 그를 위해(182cm / 150kg)이었던 신체적 특징을감안하여 특별 제작한 슈퍼카를 선물받는등 그의 재력은 어마무시할정도로 많은걸로 알고있습니다.걸어다니는 기업이라고 할 정도였으니까요.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