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Q.  동물의 생애 주기와 그에 따른 생리적 변화는 어떻게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개와 고양이 모두 초기 생애 단계에서는 빠른 성장을 경험합니다. 개의 경우, 유아기(출생 후 6~8주)에서는 모유를 통해 필수 영양소를 섭취하며 면역 체계를 강화시키는 초기 단계를 거칩니다. 이후 성장기(6~18개월)로 접어들면, 사회화와 기본 교육이 중요해지며, 이 시기에는 고품질의 사료를 통해 적절한 영양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년기에 접어들면 개는 신체적, 행동적으로 성숙하며, 정기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이 필요합니다. 노년기(7년 이상)에는 활동량이 감소하고 만성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질병 예방 조치가 중요해집니다. 고양이 역이 비슷한 생애 주기를 거치지만, 성숙 속도가 개보다 다소 빠를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유아기는 생후 6~8주간 지속되며, 이후 성장기를 거쳐 약 1년 만에 성년기에 도달합니다. 고양이의 성년기는 상대적으로 길며, 이 기간 동안 적절한 건강 관리와 정기적인 예방 접종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고양이의 노년기는 보통 10년 이상부터 시작되며, 이 시기에는 신장 건강과 관절 관리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Q.  전 세계 고라니의 몇 %가 우리나라에서 살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고라니는 코리안 워터 디어(Hydropotes intermis argyropus)라고도 불리며 한국에서 상당히 흔하게 발견됩니다. 이 종은 주로 한국과 중국 동부에서 발견되며, 한국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개체 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고라니 개체 수와 그 중 한국에서 서식하는 비율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다소 부족하지만, 한국은 고라니의 주요 서식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한국 내 고라니 개체 수는 수십만 마리에 이를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이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다른 지역에 비해 한국에서 비교적 높은 밀도를 보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에서의 고라니 개체 수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할 때 상당히 높은 편이며, 전 세계 고라니 개체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한국의 적합한 서식지 조건과 효과적인 야생동물 관리 정책 덕분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전체 고라니 개체 수의 몇 퍼센트가 한국에서 서식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국립환경과학원이나 국립생태원과 같은 기관에서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아직 구체적인 수치가 발표되진 않았습니다.
Q.  고라니는 왜 우리나라에서는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고라니는 한국에서 매우 흔한 야생동물 중 하나로, 국제적으로는 멸종 위기 취약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한국에서는 비교적 안정된 개체 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먼저, 고라니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높은 생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산림과 농경지가 공존하는 지형이 많아, 이러한 환경은 고라니가 서식하고 번식하기에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합니다. 고라니는 숲속뿐만 아니라 개방된 농경지에서도 먹이를 찾고 생활할 수 있어, 도시와 농촌 지역을 가리지 않고 넓은 범위에 분포할 수 있습니다. 또, 한국에서는 고라니에 대한 수렵 압력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과거에는 수렵이 일반적인 활동이었지만, 현재는 자연보호와 야생동물 보호의식이 높아져 수렵이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습니다. 또한, 고라니 수렵을 위한 특별한 제한이나 관리 정책이 마련되어 있어, 고라니의 개체 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Q.  남자는 왜 턱과 코에 수염이 생기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남성의 턱과 코 주변에 수염이 자라는 현상은 주로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같은 남성 호르몬과 그 유도체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 DHT)의 영향으로 설명됩니다. 이 호르몬들은 모낭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주요 인자로 작용하며, 특히 남성의 얼굴 부위 모낭에 강한 영향을 미칩니다. 테스토스테론은 체내에서 효소인 5α-환원효소(5-alpha reductase)에 의해 DHT로 전환됩니다. DHT는 테스토스테론보다 훨씬 더 강력한 작용을 하며, 이는 특히 모낭을 활성화하여 수염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이 과정에서 DHT는 모낭의 세포 수용체에 결합하여 모발의 성장주기를 조절하고, 특히 모낭의 성장 단계(Angen)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남성은 더 굵고 짙은 수염을 가지게 됩니다. 여성도 남성 호르몬을 소량 분비하지만, 이 수준은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며, 일반적으로는 수염이 자라는데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여성에서 턱이나 코 주변에 수염이 자라는 경우, 이는 호르몬 불균형의 증거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Polycystic Ovary Syndrome ; PCOS)과 같은 내분비 질환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Q.  거머리같은 자웅동체는 짝짓기를 하지 않아도 수정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자웅동체의 경우, 짝짓기 과정에서 서로 다른 개체 간에 정자와 난자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거머리는 서로의 정자를 교환하고, 각각의 개체가 상대방의 정자로 자신의 난자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줍니다. 비록 자웅동체 개체가 혼자서도 생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종들도 존재하지만(ex : 일부 선충류), 대부분의 자웅동체는 유전적 다양성을 위해 짝짓기 과정을 거칩니다. 거머리와 같은 종에서도 이러한 짝짓기는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종의 생존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461471481491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