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Q.  식물의 광합성 효소인 루비스코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루비스코(Rubisco,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는 광합성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₂)를 고정하는 데 필수적인 효소로,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루비스코의 반응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며, 1초에 약 3~10개의 CO₂를 고정하는 데 그칩니다. 이러한 속도 제한은 효소의 구조적, 생화학적, 환경적 요인에 기인하며, 이는 효소 작용의 본질적 한계를 잘 보여줍니다. 먼저, 루비스코의 구조적 제한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루비스코는 복잡한 다중 단위체(multimeric enzyme)로, 활성 부위(active site)가 제한된 수만 존재합니다. 이 활성 부위는 CO₂와 Ribulose-1,5-bisphosphate(RuBP)라는 기질(substrate)과 결합하여 반응을 촉진하지만, 동시에 산소(O₂)와도 경쟁적으로 결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성은 효율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며, CO₂와 O₂가 활성 부위에 접근하기 위해 경쟁하기 위해 경쟁함에 따라 반응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또, 루비스코는 생화학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촉매 효율을 가집니다. 촉매 전환율을 나타내는 kcat (1초당 효소가 촉매할 수 있는 반응 수)는 약 3~10으로, 이는 다른 효소들에 비해 매우 낮은 값입니다. 이는 루비스코가 반응 중간체(intermediate state) 형성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며, 반응의 다단계 과정과 복잡한 구조적 재배열이 속도를 제한합니다. 특히, CO₂를 고정하는 화학 반응은 활성화 에너지(activation energy)가 상대적으로 높아, 효소가 이를 촉매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추가로, 환경적 요인이 루비스코의 작동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루비스코는 CO₂와 O₂의 상대적인 농도에 민감하며, 현재의 대기 조건에서는 CO₂ 농도가 낮고 O₂ 농도가 높기 때문에 효율이 더욱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에서 루비스코는 CO₂ 대신 O₂를 더 자주 결합하여 광호흡(photorespiration)이라는 비효율적인 경로를 유발합니다. 광호흡은 에너지 소모가 크고 탄소 고정 효율이 낮아 광합성 전반의 생산성을 제한합니다.
Q.  플라스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안녕하세요. 플라스틱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음 심각합니다. 이러한 영향은 플라스틱의 화학적 안정성, 비분해성(non-biodegradability), 전 세계적으로 무분별한 생산과 폐기에서 비롯됩니다. 환경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은 다음과 같은 주요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우선, 플라스틱은 자연환경에서 분해되지 않고 오랜 기간 동안 잔존합니다. 이로 인해 생태계에 심각한 물리적 및 화학적 피해를 초래합니다. 특히 해양 환경에서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으로 분해되어 해양 생물에 흡수됩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5 mm 이하로 매우 작아 플랑크톤, 물고기 등 먹이사슬 하위 단계 생물에 축적되며, 이는 결국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는 생물농축(biomagnification)을 유발합니다. 또한, 플라스틱은 토양과 수질 오염의 주요 원인입니다. 플라스틱이 매립되거나 자연환경에 방치될 경우, 첨가제나 안정제와 같은 화학물질(ex : 비스페놀A, 프탈레이트)이 방출됩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토양의 생물학적 활동을 억제하거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농업 및 식수 자원을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수계 환경에서 플라스틱은 물리적 장애물을 형성해 하천과 강의 유속을 방해하며, 이는 생태적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기후 변화 측면에서도 플라스틱은 부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플라스틱의 생산 과정은 화석 연료에 의존하며, 이로 인해 대규모 온실가스(ex : CO₂, CH₄)가 배출됩니다. 더불어, 폐끼된 플라스틱을 소각할 경우 다이오신(dioxin)과 같은 독성 물질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대기 오염과 인체 건강 문제를 야기합니다. 해양 환경에서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쓰레기 섬"과 같은 거대한 플라스틱 축적 지대를 형성합니다. 예를 들어, 태평양 쓰레기 대륙(Great Pacific Garbage Patch)은 약 1.6백만 평방킬로미터에 달하는 플라스틱 쓰레기 집합체로, 이는 해양 생물의 서식지를 물리적으로 파괴하며 생물다양성을 위협합니다. 플라스틱 표면에서 발견되는 병원균과 유독 화합물은 생물학적 독성을 더욱 증가시킵니다. 재활용의 어려움 또한 플라스틱의 환경적 문제를 심화시킵니다. 많은 종류의 플라스틱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재활용이 어렵거나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입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의 누적을 초래하며,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로의 전환을 방해하는 주요 요소로 작용합니다.
Q.  물체의 질량과 중력은 어떻게 연관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물체의 질량과 중력 사이의 관계는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Newton`s Law of Universal Gravitation)과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General Theory of Relativity)에 의해 설명됩니다. 이 두 이론은 각각 고전 역학(classical mechanics)과 현대 물리학(modern physics)의 기초를 이루며, 중력의 본질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정의합니다.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에 따르면, 두 물체는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으로 서로를 끌어당깁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됩니다 : F = Gㆍ(m₁ㆍm₂) / r² 여기서 F는 중력의 크기, G는 중력 상수(gravitational constant, 약 6.674 × 10⁻¹¹ N·m²/kg²), m₁과 m₂는 두 물체의 질량, r은 두 물체 사이의 중심 간 거리입니다. 이 수식은 질량이 클수록 중력이 커지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중력이 약해짐을 수학적으로 보여줍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은 중력을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 시공간의 곡률(spacetime curvature)로 설명합니다.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 주변 시공간을 더 많이 왜곡하며, 이로 인해 중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중력은 단순한 힘이 아니라, 질량이 있는 물체가 왜곡된 시공간을 따라 움직이는 결과로 나타납니다. 이 관점에서 중력은 곡선 경로를 따라가는 운동으로 설명되며, 이는 뉴턴의 개념과는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예를 들어, 태양과 같은 거대한 질량체는 주변 시공간을 크게 왜곡하며, 지구는 이러한 왜곡된 시공간을 따라 궤도를 도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Q.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차이점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바이러스는 비세포성 병원체로서, 자체적인 대사 기능이 없어 숙주 세포의 기계를 이용하여 복제를 수행합니다. 바이러스는 단백질 코트(protein coat)로 둘러싸인 유전 물질(genetic material)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유전 물질은 DNA 또는 RNA 일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생존과 복제는 숙주 세포 내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숙주 세포의 생리적, 생화학적 경로를 공략하는 것이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있어 중요합니다. 반면, 박테리아는 단세포 유기체로 자체적인 대사 활동을 수행하며 독립적으로 증식할 수 있습니다. 박테리아 세포는 세포벽(cell wall)과 세포막(cell membrane)을 포함한 복잡한 세포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박테리아 감염은 주로 항생제(antibiotics)로 치료되며, 이는 박테리아의 세포벽 합성 또는 단백질 합성 과정을 방해하여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킵니다.
Q.  물리학에서의 패러독스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물리학에서 패러독스(paradox)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 이론이나 경험적 관찰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패러독스는 과학적 이론의 미비한 부분을 지적하고, 새로운 물리학적 이해와 이론의 발전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리학의 패러독스는 종종 이론적 모델의 한계를 드러내거나, 미해결의 과학적 문제를 명확히 함으로써 이론적 개선을 유도합니다. 쌍둥이 패러독스(Twin Paradox)는 특수 상대성 이론(special relativity)의 맥락에서 제시됩니다. 이 패러독스는 지구에 머무는 쌍둥이와 우주 여행을 하는 쌍둥이가 겪는 시간의 흐름이 다르다는 것을 설명하며, 상대적 운동 상태에 따라 시간이 어떻게 다르게 경과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패러독스는 상대성 이론의 복잡한 예측들을 일반 대중에게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이론의 근본적인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 데 기여합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Schrödinger's Cat) 패러독스는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인 중첩 상태(superposition)의 문제를 다룹니다. 이 패러독스는 관찰자가 상자를 열어 확인하기 전까지 고양이가 살아 있는 상태와 죽은 상태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양자역학의 예측을 비판적으로 탐구합니다. 이는 양자 역학의 해석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며, 이론적 토론과 실험적 검증을 통한 이해의 확장을 유도합니다.
1911921931941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