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진의 그림과 같이 예쁜 곷이 특이하게도 줄기외에는 잎이 하나도 없고 줄기 기둥위에 꽃만 달랑 피어 있습니다. 어떤 꽃인데 참 멋있기도 하고 신기합니다.
안녕하세요. 사진에 보이는 꽃은 상사화(Lycoris radiata)로, 한국에서는 종종 '석산'이라고도 불립니다. 상사화는 매우 독특하고 아름다운 꽃으로,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걸쳐 개화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식물은 잎이 없는 상태에서 꽃이 먼저 피며, 꽃이 지고 난 후에야 잎이 자라나는 식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생육 패턴 때문에 '유령의 꽃'이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상사화의 꽃은 주로 선명한 붉은색을 띠며, 긴 꽃대 끝에 여러 개의 꽃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피어납니다. 각 꽃잎은 길고 뾰족한 모양을 가지며, 가운데에는 노란색이나 밝은 색의 수술이 돋보입니다. 상사화는 일반적으로 가을에 꽃을 피웁니다. 이는 다른 많은 꽃들이 이미 지고 나서이기 때문에 주변 환경 속에서 두드러지게 보입니다. 꽃은 일반적으로 수일 내에 피었다가 지며, 꽃이 지고 난 후에 비로소 잎이 자라나기 시작합니다. 이 잎들은 겨울을 거쳐 봄까지 살아있다가, 초여름에 말라 사라집니다. 상사화는 구근을 통해 번식하며, 자연상태에서는 씨앗을 통해서도 번식할 수 있습니다. 구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분열을 통해 번식하며, 이를 통해 군락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상사화는 그 독특한 개화 특성과 아름다움 때문에 많은 문화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이 꽃이 사자성어 '상사화상'과 연결되기도 합니다. 이는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의미로, 겉모습의 화려함 뒤에 숨겨진 허망함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거 빌라 앞에 나타난 뱀인데 이 뱀의 이름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사진 속 형태를 바탕으로 판단했을 때, 가능성이 높은 것은 능구렁이(Elaphe schrenckii)일 수 있습니다. 능구렁이는 비독성 뱀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체로 독사처럼 보일 수 있는 삼각형 머리를 가지고 있지만 독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 종은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습니다. 능구렁이는 일반적으로 몸에 복잡한 무늬가 있어 화려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성체는 보통 1~1.5 미터 정도 자라나며, 더 클 수도 있습니다. 사람을 피하려는 성향이 강하고, 비교적 온순한 편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 사진의 벌레는 무슨 벌레인가요??
안녕하세요. 사진 속 벌레는 암끝표범나비의 애벌레(Danaus chrysippus, known as the plain tiger or African monarch)로 보입니다. 이 애벌레는 특히 화려한 색상을 가지고 있어 포식자들에게 독성이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경고색을 띄고 있습니다. 암끝표범 나비 애벌레의 특징은 주로 검정색 바탕에 밝은 황색 또는 주황색 띠가 있으며, 몸 주변에는 하얀색 점이 배열되어 있습니다. 몸에 가시가 있어, 애벌레를 포식자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박하과 식물을 먹으며, 이 식물들에서 독성을 흡수하여 자신도 독성을 띄게 됩니다. 이러한 경고색은 애벌레가 독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생태학적 적응의 일부입니다. 독성을 가진 애벌레를 먹은 포식자들은 나쁜 경험을 기억하여, 향후 비슷한 색상의 애벌레를 피하게 됩니다. 이는 애벌레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상에서 가장 큰 새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세상에서 가장 큰 새로 알려진 것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낙타조인데, 특히 남아프리카의 타조(Struthio camelus)가 이에 해당합니다. 타조는 날지는 못하지만 지상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새로, 성체가 되면 몸무게가 약 150kg에 이르고, 키는 최대 2.8미터까지 자라납니다. 타조는 코끼리만큼의 거대한 크기는 아니지만, 그래도 새 중에서는 단연 독보적인 크기를 자랑합니다. 큰 몸집에도 불구하고 타조는 매우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으며, 시속 70km에 달하는 속력을 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은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타조의 이러한 특성은 그들의 생존 전략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큰 몸집은 방어 및 생존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이들은 또한 강력한 다리를 사용해 방어할 때 공격자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힐 수도 있습니다. 타조의 큰 눈은 뛰어난 시각을 제공하여 주변 환경을 잘 감지하게 해 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남자들의 경우 왜 여자보다 유연성이 떨어지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남성과 여성의 근육 섬유 구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근육량이 많고 근육 섬유가 더 두꺼우며, 이는 근육의 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근육의 구성은 유연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데, 두꺼운 근육 섬유는 길이를 늘리기가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남성에게서 더 높은 수치로 분비되며, 이 호르몬은 근육 성장을 촉진시킵니다. 테스토스테론이 높은 경우, 근육의 더 빠른 성장과 더 높은 밀도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유연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은 관절과 인대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여성이 남성보다 유연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연성은 부분적으로 유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적 경향성은 성별 간의 유연성 차이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4764774784794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