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이은수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3개월 전 작성 됨
Q.
강아지가 초콜릿을 먹었는데 어떡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먹은 양에 따라 다르니 https://diamed.tistory.com/214 자료를 참고하시고 먹은 양을 추정하여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반려견의 입질, 저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개의 거의 모든 이상 행동은 보호자의 태도, 습관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래서 훈련은 개가 아닌 보호자가 받아야 하는데 보호자의 변화 없이 지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입니다. 전문 훈련사의 도움을 받아 보호자의 변화를 위한 노력을 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이게 싫다면 안락사가 옳은 선택입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강아지 넥스가드 스펙트라 먹이고 2시간 이후 사료 토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대부분 문제는 없겠지만 보호자가 찝집한 마음이 든다면 다른 종류의 심장사상충 구제제로 교체 하는것도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 주치의와 상의하에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안구의 위치가 측면에 달린 어류는 전방에 대한 시야가 어찌되는가요?
측면에 눈이 달린 어류는 넓은 범위를 볼 수 있지만, 정면 시야는 겹쳐지지 않아 입체감이나 거리감 인식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어류는 눈을 움직여 정면 시야를 확보하거나, 두 눈의 시야가 겹치는 부분을 활용하여 전방을 인지합니다. 또한, 옆줄과 같은 다른 감각 기관을 통해 전방의 움직임을 감지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전방에 대한 시야 확보 방식은 어류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도시든 시골이든 일단 밤 시간에 불빛에 각종 벌레들이 모이는 이유가 있나요?
밤에 불빛에 벌레들이 모이는 이유는 광주성 때문입니다. 광주성은 곤충이 빛에 이끌리는 현상으로, 특히 야행성 곤충에게서 두드러집니다. 과거에는 달빛이나 별빛을 이용하여 방향을 잡았으나, 인공 불빛이 나타나면서 혼란을 느껴 불빛으로 모이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일부 곤충은 불빛을 배우자를 찾는 신호로 오인하기도 합니다.
531
532
533
534
5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