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든 시골이든 일단 밤 시간에 불빛에 각종 벌레들이 모이는 이유가 있나요?
보통 시골에 가면
밤에
마당이나 이런 데
불을 켜두면
그쪽으로 별별 잡벌레, 날파리, 나방 등이
정말 어마어마하게 들이닥치는 모습을 볼 때가 많은데요
도시에서도
시골만큼은 아니지만
밤에 가로등이 있는 골목 등에서 보면
가로등 불빛에
별 희한한 잡벌레 들이 계속 주위를 날아다니며 모이는 것을 봅니다.
대체 왜 밤에 불빛에
그런 잡 벌레 들이 그렇게도 많이 모여드는가요?
무슨 목적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첫번째이유는 곤충들의 본능과 연관이 있습니다.
자연에서는 열에너지를 받는것이 생존에 유리한데, 빛이있는곳에 열이 함께발생하기에 곤충들은 호광성이라는 성질을 갖고있습니다. 이에따라 빛에 이끌립니다.
두번째로 몇몇곤충들은 빛을 이용해 방향이나 길을찾는데, 밤에는 이 빛을 태양빛이나 달빛으로 착각하여 모여듭니다.
세번째는 이러한원리들로 곤충들이 몰려들기에 짝을찾거나 먹이를 찾는데 유리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이유로 곤충들이 빛에 몰려들곤합니다.
감사합니다.
명확한 이유는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가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력한 가설은 항행의 혼란입니다. 야행성 곤충들은 달이나 별 같은 자연적인 광원을 이용하여 방향을 잡고 이동합니다. 이때, 곤충들은 빛을 특정한 각도로 유지하며 날아가는데, 인공적인 불빛은 이러한 자연적인 광원과는 달리 너무 가깝고 밝기 때문에 곤충들이 방향 감각을 잃게 되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나침반이 고장 난 것처럼, 곤충들은 인공 불빛 주변을 맴돌게 되는 것이죠.
또는 포식자로 부터 도피하거나 먹이와 관련되거나 광원의 열을 원인으로 보는 가설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벌레들은 빛에 끌리는 성질을 갖고있습니다.
그리고 본능적으로 달빛을따라서 방향을 잡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인공불빛을 달빛으로 착각해서 가까이 계속맴도는 행동을합니다.
또한 이렇게 벌레들이 모여있다보니 포식자역할을하는 벌레들은
그곳에 몰려들어 사냥감을 쉽게 찾을수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짝꿍을 찾기위해서 빛으로
몰려들기도합니다.
밤에 불빛에 벌레들이 모이는 이유는 광주성 때문입니다. 광주성은 곤충이 빛에 이끌리는 현상으로, 특히 야행성 곤충에게서 두드러집니다. 과거에는 달빛이나 별빛을 이용하여 방향을 잡았으나, 인공 불빛이 나타나면서 혼란을 느껴 불빛으로 모이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일부 곤충은 불빛을 배우자를 찾는 신호로 오인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