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신경외과
Q. 신경치료 마무리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신경치료는 치아 내부의 감염된 조직을 제거하고 소독한 후 해당 부위를 치과용 재료로 밀봉하는 치료입니다.신경치료가 마무리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1. 치아 내부의 감염된 조직의 제거나 소독 등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단계이며 동시에 내부를 밀봉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때문에 감염이 점차 진행되어 치아 주변 조직의 파괴를 야기하게 됩니다.2. 치아 머리 부분 또한 최종 재료로 메꾸지 않고 임시재료로 메꿔둔 상태로, 재료와 치아 사이에서 누출이 발생하여 내부 감염을 더욱 심화시키기 됩니다.3. 또한 신경치료된 치아는 본래의 치아보다 깨지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신경치료 후 크라운 치료가 필요한데, 신경치료조차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치아가 부러질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결론적으로 신경치료를 마무리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가까운 기간 내에 해당 치아를 발치하게 될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Q. 윗몸이아프고치아가시끈거리고시린증상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질문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판단은 어렵지만, 치경부마모를 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치경부(치아의 잇몸과 닿는 부위)는 법랑질(치아의 가장 바깥층, 가장 단단한 조직)이 가장 얇은 부위입니다. 단순히 씹는 작용을 통해서도 해당 부위가 조금씩 깨져나갈 수 있습니다(굴곡파절). 철사를 휘었다 폈다를 반복하다보면 가운데에서 끊어지게 되는 원리와 비슷합니다.이 때, 칫솔질을 좌우로 세게 하는 행동으로 해당 부위가 마모되는 것을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 단단하거나 질긴 음식을 즐겨 먹거나 씹는 힘이 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마모가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패인 정도가 아주 작은 경우에는 시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약제를 도포하며, 그 이상으로 패인 경우에는 떼우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간혹 신경이 보일정도로 심하게 패인 경우에는 신경치료 및 크라운 치료를 하게 됩니다.이 때 경계부위가 잇몸과 가까운 경우에는 잇몸에 실을 넣은 상태로 때우게 되며, 치료후에는 실을 제거합니다.치료 후에는 일시적으로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시간이 감에 따라 대부분 완화됩니다.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완화되지 않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는 경우에는 치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 및 조치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