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혀에 혓바늘이 커졌는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적으로 혓바늘이라 표현하시는 것은 혀에 궤양이 생기거나 설유두가 솟아오르는 증상을 말합니다.스트레스나 피로, 수면 부족, 전신 질환, 영양 결핍, 알레르기, 혀에 지속적인 자극, 구강건조증 등을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대부분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7일 정도 후 호전됩니다. 통증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연고나 알보칠 등을 바를 수 있습니다.하지만 증상이 계속 반복되거나 7일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바이러스나 세균감염, 또는 그 외 질병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치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Q. 얀센백신 접종후 접종부위가 계속아픕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같은 백신을 맞더라도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사람마다 면역체계 면역력, 기저질환과 만성질환, 나이와 성별 등 차이가 있어, 부작용의 종류와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부작용으로 접종한 부위이 붓거나 발적,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전신적인 발열과 메스꺼움 및 근육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로감과 두통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런 경우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보통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39도 이상의 고열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며 일상생활이 힘들정도로 이상증상이 나타날 때- 부기나 발적, 통증이 3일이 되어도 전혀 호전되지 않는 경우- 접종 후 호흡곤란, 흉통, 복부 통증, 다리가 붓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접종 후 심한 두통이나 2일 이상 지속되는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의해 호전되지 않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접종 부위 외에 멍이나 출혈이 생기는 경우
Q. 얀센백신 접종 후 부작용관련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 접종 후 이상증상에 대하여는 질문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습니다.이상증상이나 부작용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아야 판단이 가능합니다.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부작용으로 접종한 부위이 붓거나 발적,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전신적인 발열과 메스꺼움 및 근육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로감과 두통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런 경우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보통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백신 접종 후에 점점 두통이 심해지거나 시야장애가 생기는 경우에는 뇌정맥동 혈전의 가능성이 있지만, 조기에 진단한 경우에는 사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의료기관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39도 이상의 고열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며 일상생활이 힘들정도로 이상증상이 나타날 때- 부기나 발적, 통증이 3일이 되어도 전혀 호전되지 않는 경우- 접종 후 호흡곤란, 흉통, 복부 통증, 다리가 붓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접종 후 심한 두통이나 2일 이상 지속되는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의해 호전되지 않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접종 부위 외에 멍이나 출혈이 생기는 경우- 그 외 이상증상 등이 의심되어 호전되지 않는 경우
Q. 얀센 접종 후 별다른 증상이 없었는데, 건강에 문제가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최근에 발표된 연구결과에서,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의 정도와 백신 효과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는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즉, 백신 접종 후 심한 통증 등이 발생한다고 해서 항체 생성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아무런 증상이 없었다고 해서 항체 생성률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보고되었습니다.또한 면역이 강하다고 무조건 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면역이 약하다고 무조건 아무런 증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도 아닙니다.다만, 나이가 어릴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발열이나 통증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Q. 나누어 맞아야하는 백신인데 다음에 맞아야하는 시기를 놓치게되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권장 접종 시기를 지나쳐 오랜 기간 2차 접종을 못하게 되는 경우, 기존 백신 효과가 없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2차 접종까지 하는 이유는 백신 효과를 증폭시키기 위함이므로, 2차 접종을 맞지 않는다고 해서 특별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차후 다시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2차 접종이 아닌 1차 접종부터 다시 시작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다만 아짂까지 전 국민 대상으로 1차 접종도 완료가 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에, 질문하신 상황에 대한 특별한 지침이 나온 것은 없으며, 차후 백신 접종 계획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