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뱅갈호랑이는 왜 비가 오는 날에도 활발하게 돌아다녔나요?
뱅갈호랑이가 비가 오는 날을 더 좋아하는지는 단정지어 말하기는 어렵습니다.다만, 벵갈호랑이가 서식하는 인도나 네팔, 방글라데시의 밀림 지역은 덥고 습한 환경이며, 비가 자주 내리는 열대 우림 기후에 속하는 것이 사실이며, 다른 고양이과 동물에 비해 물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것 역시 사실입니다.특히 벵갈호랑이는 물을 매우 좋아하고 수영을 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비 오는 날에도 물속이나 젖은 환경에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것이죠.그래서 보통 다른 고양이과 동물들은 비를 피하는 경향이 있지만, 벵갈호랑이의 경우 비오는 날에도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창조론과 진화론 중 무엇이 맞는지 밝혀졌나요?
사실 진화론과 창조론은 과학과 종교의 대립에 가깝습니다.그리고 현재 과학계에서는 진화론이 생명의 다양성과 변화를 설명하는 가장 일반적인 이론입니다.무엇보다 창조론과 달리 진화론은 수많은 증거, 즉 화석 기록이나 유전학, 비교 해부학 등이 이론의 증거가 되기 때문입니다.결론적으로, 과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진화론은 증거를 바탕으로 확립된 이론이며, 창조론은 과학적 증거보다는 종교적 믿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퀴벌레는 어떻게 생명력이 길게 되었을까요?
바퀴벌레의 생태적 특성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무엇보다 바퀴벌레는 다양한 먹이를 먹습니다. 음식 찌꺼기나 식물의 뿌리, 심지어 종이나 접착제까지 먹을 수 있어 어떤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그리고 바퀴벌레의 몸은 납작하고 단단한 외골격으로 덮여 있어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부터 내부 장기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좁은 틈새에도 쉽게 숨을 수 있어 위험한 상황을 피하기 유리합니다. 게다가 바퀴벌레는 번식 주기가 짧고 한 번에 많은 수의 알을 낳는데, 이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빠르게 개체 수를 늘려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이유이죠.더욱이 바퀴벌레는 다른 곤충에 비해 신진대사율이 낮아 적은 양의 음식과 물로도 오랜 기간 생존이 가능하며, 심지어 다른 곤충과 달리 호흡기가 몸통에 있기 때문에 머리가 잘려도 며칠 동안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겨울잠을 자는 동물은 아무리 최소한의 에너지만 소비한다고 하여도 어떻게 오랫동안 살수 있을까요?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신진대사 활동을 극도로 낮춘 상태로 겨울을 지내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잠만 자는 것은 아니며, 생존을 위한 생리적 과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겨울잠 동안 동물들은 체온을 주변 온도 가까이로 낮추고, 심박수와 호흡 횟수를 줄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죠. 하지만 겨울잠에 자기 전에 몸에 충분한 지방을 축적해둡니다. 이 지방은 겨울잠 동안 천천히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비상 식량입니다.또한, 겨울잠 중에도 일부 동물들은 잠시 깨기도 합니다. 이때 배설을 하거나 체온을 다시 높이기도 하고, 아주 드물게 먹이를 먹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다람쥐와 같은 동물이죠. 즉, 완전히 동면 상태로만 계속 잠들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결론적으로,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단순히 잠만 자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와 축적된 지방을 이용하여 겨울에 살아남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균은 계속해서 새로 만들어지고 번식하고 사라지고 그런건가요??
말씀하신대로 세균은 끊임없이 태어나고, 번식하고, 사라지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마치 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주변 환경에 따라 활발하게 움직이고 변화하죠.세균은 생명체이기 때문에 스스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있던 세균이 번식하면서 개체 수가 늘어납니다. 이 때 사용하는 방법은 거의 분열법입니다. 즉, 하나의 세균이 유전 물질을 복제한 후 세포가 둘로 나뉘어 두 개의 새로운 세균이 되는 방식입니다.하지만, 세균이 아무리 빠르게 번식해도 영원히 살아남지는 못합니다.영양분이 부족하거나, 환경이 변하거나 다른 미생물과의 경쟁에서 지거나, 숙주의 면역반응, 항생제, 또는 바이러스의 공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사멸하게 되죠.그러나 세균이 번식하고 사멸하는 순환 과정은 끊임없이 반복되며, 세균의 종류와 주변 환경에 따라 그 속도와 규모는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만,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 역시 비슷한 생애 주기를 가지지만, 세균과는 다른 방식으로 번식합니다.그리고 세균의 끊임없는 생성과 소멸은 우리 몸과 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우리의 소화나 면역, 우리몸의 환경 및 물질 순환 등 다양한 생명활동을 돕기도 하지만, 질병이나 식품 부패, 우리몸 내의 환경 변화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2912922932942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