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불면증에 좋은 한약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우선 불면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는 약재로는 산조인, 대추가 있습니다. 본초학에서 산조인은 안신약으로 분류되며 불면증상 완화 외에도 진정효과, 스트레스 완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산조인은 spinosin, jujuboside를 약리성분으로 지니고 있는데, 해당 성분은 진정작용과 신경안정작용, 수면유도효과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추에도 spinosin이 약리성분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산조인과 대추를 함께 약재로 사용할 경우 불면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앞서 말씀드린 산조인과 대추는 대추산조인차로 시장에서 티백으로 판매되는 것도 있습니다. 만약 직접 달여서 드신다면 산조인 15g, 대추 15g을 1L의 물에 끓여서 달여 드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산조인으로만 드시는 방법도 존재하지만 산조인은 단맛 외에도 신맛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신맛을 조절하기 위해 대추를 함께 넣어 달여서 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아무쪼록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한약을 먹으면서 무우을 먹으면 머리가 쉰다고 하던데 정말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우선 한약을 복용하는 중에 무우를 먹었을 때 머리가 백발이 되는 것은 근거가 없습니다. 다만 이러한 이야기가 전해진 이유는 한약의 약효와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한약재 중에는 지황, 숙지황이라는 약재가 있는데, 이러한 약재가 들어간 한약을 복용하는 중에 무우를 섭취할 경우에는 한약의 약효가 떨어진다고 한방에서 이야기가 전해져오고 있습니다. 물론 지황이 들어간 한약을 복용하는 중에 무우를 섭취해서 독성성분이 발현되거나 예기치 못한 약물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지황과 무우는 궁합이 맞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한약 복용 중에는 무우를 섭취하지 말라는 권고가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권고를 강조하기 위해 흰머리가 난다는 식으로 표현을 과장했던 것이 현대까지 그대로 전해진 것으로 여겨집니다.즉, 한약과 무우를 함께 먹었을 때 머리가 하얗게 쇠는 것은 근거가 없는 이야기로 볼 수 있습니다.아무쪼록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소화가 잘 안 되는 것도 한약으로 나아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한방에서도 양방의 즉각적인 소화제와 같은 처방으로 연라환, 소체환 등이 있습니다. 또한, 비위기능을 강화하여 전반적인 소화기능을 증진시키는 처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만약 일시적인 소화불량이 아닌 지속적으로 소화가 안되는 만성적인 소화불량이라면 꾸준히 드시는 한약 처방을 복용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대표적인 처방의 예로는 사군자탕, 보중익기탕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다만, 앞서 말씀드린 처방 외에도 적합한 다른 처방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의원에 방문하셔서 상담 및 진료를 받으신 뒤 적합한 처방을 받아 약을 지어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아무쪼록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약료상담
Q. 하수오 무슨 성분이 검은 머리카락으로 바꿔주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우선 하수오가 흰 머리를 검은 머리로 만든다는 표현은 과장된 내용에 가깝습니다. 다만 하수오는 골다공증 질환 예방, 뇌신경 퇴화 방지, 항산화 효과 등 노화를 늦추는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노화를 늦추는 약효의 표현을 풍성한 검은 머리로 표현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약효에 대한 효과를 강조하기 위해 과장스러운 표현을 쓴 것은 하수오와 같은 약재명 외에도 문헌기록으로도 있습니다. 실제로 동의보감에서는 경옥고를 27년간 복용하면 360세까지 살 수 있다는 표현을 써가면서 약효가 탁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즉, 하수오는 특정 성분으로 머리를 검게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노화를 늦추는 약의 효능이 강조되며 구전되어 오던 것이 약재명으로 된 것으로 보입니다.아무쪼록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8세 이하 어린아이도 공진단(또는 침향환)을 섭취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우선 공진단이 소아에게 부작용이 있는 사례가 보고된 경우는 드뭅니다. 따라서 8세 소아도 공진단을 복용해도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다만, 공진단은 사향, 녹용, 산수유, 당귀로 구성되는 처방인데, 경우에 따라서 사향을 침향이나 목향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소아가 공진단을 복용할 때에는 한의원에서 진단이나 상담을 받아 공진단을 처방 받으실 것을 추천드립니다.침향환의 경우에는 소아가 복용할 때 혹여 알러지가 있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현재 유통중인 침향환은 의약품이 아닌 건강기능식품 혹은 기타가공품으로 분류되어 판매 중이기 때문에 제조사마다 구성하는 성분의 종류나 함량이 매우 다양하고 많습니다. 따라서 침향환은 구입하신다면 어떤 성분들을 함유하는지 살펴보시고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아무쪼록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