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장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장웅 전문가입니다.

이장웅 전문가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말에는 욕이 없다고 하는데 진짜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장웅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흔히 일본어의 욕설이 약하다는 인식이 있지만, 이는 외국인 입장에서는 일본어를 대체로 매체를 통해 접하기 때문입니다. 애니메이션, TV 예능 등의 매체에서는 당연히 심한 욕은 사용하지 못합니다. 심한 욕은 아예 방송 금지 처분이라서, 한국처럼 삐 처리 하는 게 아니라 그냥 통으로 잘려나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어는 욕설이 약하다는 인식이 생겨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식민사관에 정확한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장웅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식민사관이란 일제가 한국 침략과 식민 지배의 학문적 기반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조작해낸 역사관을 말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2월29일은 왜 4년마다 오는거죠
안녕하세요. 이장웅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적으로 날짜를 계산하는 체계는 그레고리력을 따르는데 그레고리력이랑 1년의 길이를 365.2425일로 정하는 역법체계를 말합니다.즉 우리가 흔히 말하는 1년 365일이라는 표현은 엄밀히 말해 틀린 표현이죠. 0.2425일을 4년마다 1일로 계산해 윤일로 정하기에 2월 29일이 생긴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롤스로이스의 역사를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장웅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유층 자제로 태어나서 조종사이자 레이싱 선수로 뛴 적이 있었던 영국의 자동차 수입판매업자 찰스 롤스(1877-1910)와, 서민층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재능있는 전기 기술자이며 엔진 기술자였던 영국의 제조업자 헨리 로이스(1863-1933)가 만나서 1906년에 롤스로이스 유한회사(Rolls-Royce Limited)를 설립하며 시작된 회사입니다. 당시 출시되었던 기존 메이커들의 자동차가 성에 차지 않았던 헨리 로이스는 완벽한 차를 만들겠다는 열망으로 자신이 직접 자동차를 제작하여 1904년에 로이스 10(Royce 10)이라는 프로토타입 차량을 내놓았는데, 이 차의 정숙성이 무척 마음에 들었던 찰스 롤스는 이 차량을 독점 판매 할 수 있는 딜러 계약을 원했고, 1906년에는 아예 공동 창업으로 각자의 성을 합친 이름의 제작판매 회사를 설립하였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글을 쓰는데 있어서 산문과 수필의 차이점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장웅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먼저 산문과 수필의 뜻을 살펴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산문은  운문에 대하여 운율(韻律)이나 정형(定型)에 의한 제약이 없는 보통 문장, 따라서 넓은 의미로는 모든 문서류나 일상의 회화까지 모두 산문에 속합니다. 다음으로 수필은 일정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인생이나 자연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느낌이나 체험을 생각나는 대로 쓴 산문 형식의 글로 일기가 대표적이죠.산문이라는 개념 안에 수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얼마전 1년중 연말에 가족모임을 하는 날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장웅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걸치다'의 뜻에는 음식을 아무렇게나 대충 먹다. 라는 뜻이 있습니다. 즉 술을 많이 마실 때에는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가볍게 한, 두잔 정도 마실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터키가 튀르키예로 바뀐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장웅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튀르키예인들은 영어로 '터키'라고 부르는 명칭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튀르키예인들도 영어 단어로 'Turkey'가 '칠면조'라는 뜻임을 알고 있고, 속어로는 '겁쟁이'라는 뜻으로 쓰인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2020년에 터키 수출업 총회(TİM)에서 'Turkiye'라는 표기를 표준화하기 위해 'Made in Turkiye'를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는데요, 정확하게 말하면 모국어인 튀르키예어 국호는 그대로 두고 공식 영어 표기를 수정한 것입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은 건국 이래 가장 낮은 출산율을 기록중인데 이유가 뭐죠?
안녕하세요. 이장웅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3포 시대를 넘어 5포, 6포 세대라는 말이 나온지가 제법 오래되었습니다. 그만큼 많은 청년들이 삶을 꾸려나가기에 각박한 세상이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집 값은 오르고 집 값이 떨어지면 금리가 오르고, 임금은 제자리인데 물가는 상승하니,결혼은 커녕 연애조차 포기하는 세대가 많아진거죠.아이가 태어나면 육아비도 만만치 않고.. 근본적인 문제는 경제가 어렵기 때문 아닐까 생각합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과거 조선시대에도 우유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장웅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유는 삼국시대부터 있었는데요 다만 매우 귀한 음식이었습니다. 비단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중국이나 일본, 동남아에서도 근대까지는 우유가 매우 귀해 왕이나 힘있는 귀족, 부자가 먹을 수 있었던 값비싼 음식이었습니다. 게다가 과거에는 냉장기술이 부족했던만큼 우유의 가치는 그만큼 더 귀중했다고 합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별무반 삼별초는 어떤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장웅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별무반]은 고려시대 중기, 당시 고려의 중앙군이라 할수 있던 2군 6위의 경군은 토목공사를 비록한 과도한 역역과 부족한 군인전 등으로 붕괴되어 갔고 더욱이 숙종 9년에 정주로 진출한 여진족과의 전투에서 고려가 잇달아 패하자 윤관의 건의에 따라 거국적 관점에서 편성한 고려의 특설 군사조직입니다.[삼별초]는 고려 무신정권 시절에 탄생한 무신정권 친위대를 말합니다. 좀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고려에서는 원래 특별히 선정해 뽑은 병사들로 이루어진 부대를 '별초'라 하였는데, 최씨 무신정권 시절 최우는 자신의 권력을 보호하고 신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힘세고 기골이 장대한 장정들을 뽑아 사병조직 [야별초]를 만들었다. 그러나 몽골과의 전쟁이 계속되자 야별초를 확대해 정규군 조직으로 재편해 [좌별초], [우별초]로 나눴고, 여기에 몽골제국군에 포로로 잡혔다가 탈출하거나 송환된 사람들을 모은 [신의군]까지 합쳐서 마침내 '삼별초'를 이루게 되었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