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문학
문학 이미지
Q.  꼬막이라는 말이 지금은 표준어로 인정하나 예전에는 고막이 표준어였다고 하던데 이렇게 바뀌는데에 큰 영향을 준 사람이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고막'이 표준어였고 '꼬막'은 주로 전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투리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꼬막'이라는 말이 더 널리 쓰이게 되었고 결국 표준어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1988년 국립국어원이 표준어 규정을 개정하면서 '꼬막'을 표준어로 공식지정했습니다. 이는 실제 언중 사이에서 '꼬막'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찌라시라는 말의 원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찌라시라는 말은 일본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원래 의미는 흩뿌리다 또는 전단지라는 뜻입니다. 일본에서는 광고나 홍보용 전단지를 치라시라고 부르는데 이것이 우리나라로 들어오면서 찌라시라는 형태로 변형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나 가짜뉴스, 혹은 비공식적으로 유포되는 정보를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습니다. 특히 연예계나 경제 관련 루머를 담은 문서나 메시지를 찌라시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율리시스는 현대 소설의 새로운 지평을 연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는 현대 소설의 새로운 지평을 연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이 소설은 의식의 흐름 기법을 활용해 인물의 내면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각 장마다 다른 문체와 형식을 실험적으로 적용했습니다. 또한 에피소드 구조를 통해 하루 동안의 사건을 오디세이아와 연결했고 언어적 실험을 통해 전통적인 문법과 문장 구조를 파괴했습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법 덕분에 율리시스는 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성적, 정치적 논란으로 한때 검영를 받기도 했지만 결국 문학적 자유의 가치를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라노스를 몰아내고 왕이된 크로노스를 가이아가 또 다시 저주한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크로노스는 우라노스를 몰아내고 티탄들의 왕이 되었지만 자신의 아버지와 같은 실수를 반복했기 때문에 가이아의 저주를 받았습니다. 우라노스는 자신의 자식들이 자신을 몰아낼까 봐 걱정되어 타르타로스에 가둬 버렸는데 크로노스가 그를 쓰러뜨린 후에도 같은 두려움을 가졌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자식이 태어날 때마다 삼켜 버렸습니다. 이를 본 가이아는 분노했고 우라노스를 몰아냈을 때처럼 또 다른 자식(제우스)이 크로노스를 쓰러뜨릴 것이라는 저주를 내렸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가 글을쓸때 체계와체제라는 말을 쓰는데요. 이말의 차이점이 무엇이고 어떨때 쓰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체제는 어떤 조직이나 사회가 유지되는 구조와 운영방식을 의미하며 민주주의 체제나 경제 체제처럼 정치, 사회, 경제 등 큰 틀에서 사용됩니다. 반면 체계는 요소들이 일정한 원리에 따라 조직적으로 짜여 있는 구조를 뜻하며 교육 체계나 언어 체계처럼 질서 있게 연결된 구조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즉 체제는 시스템의 운영방식이고 체계는 그 안에서 구성요소들이 조직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 인 건가' 하는 표현이 일본어식 표현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인 건가"라는 표현은 일본어에서는 의문형 표현으로 ' ~のか'(이노카) 등으로 사용되는데 '~인 건가'는 일본어 표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 말에서는 '~인가?' 또는 '~한가?' 같은 표현이 더 자연스럽지만 일본어 번역과정에서 '~인 건가?'라는 형태가 자주 사용되면서 우리나라에 널러 펴졌습니다. '이게 정답인건가?'는 원래 '이게 정답인가?'로 바꾸는 것이 옳지만 '~인 건가'라는 표현이 더 자주 쓰이고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셰익스피어의 대표적인 작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셰익스피어의 대표작에는 비극, 희극, 사극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비극으로는 햄릿, 오셀로, 멕베스, 리어왕, 로미오와 줄리엣이 있으며 인간의 욕망과 배신, 사랑과 죽음을 다룹니다. 희극에는 한여름 밤의 꿈, 베니스의 상인, 십이야 등이 있으며 유머와 사랑, 신분이 바뀌는 에피소드 등의 요소가 들어 있습니다. 또한 헨리 5세, 리처드 3세와 같은 사극도 유명합니다. 셰익스피어는 이 작품들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사회를 깊이 있게 탐구한 세계적인 극작가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페이리토스가 저승의 망각의 의자에서 식물인간이 되었다는데 왜 그렇죠?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페이리토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테세우스와 함께 저승에 내려갔다가 벌을 받아 갇힌 인물입니다. 저승에 간 이유는 페르세포네를 납치하려 했기 때문입니다. 테세우스와 페이리토스는 서로를 형제처럼 여기며 신과 같은 아내를 얻겠다고 맹세했습니다. 이에 따라 테세우스는 헬레네를 납치했고 페이리토스는 하데스의 왕비인 페르세포네를 납치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저승에 도착한 두 사람은 하데스의 함정에 빠져 '망각의 의자'에 묶이는 형벌을 받았습니다. 이 의자에 앉은 자는 기억과 힘을 잃고 저승에서 빠져나올 수 없었습니다. 결국 헤라클레스가 명령을 받아 저승에 내려갔을 때 테세우스는 구해줬지만 페이리토스는 영원히 저승에 갇혀버렸고 신화에 따르면 식물인간처럼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되었다고도 전해집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명이나물이라는 이름은 어떻게 지어졌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명이나물의 이름은 '목숨을 이어주는 나물'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예전에는 산에서 식량이 부족할 때 명이나물을 먹고 목숩을 이어갔다고 해서 명(命)이 이어진다라는 의미로 '명이 나물'이라고 불렸다고 합니다. 또 다른 설로는 명이 나물이 '산마늘'이라고도 불리는데 그 강한 향이 마늘과 비슷하여 옛날 사람들이 건강에 좋은 식물이라 여겼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도스토옙스키의 대표작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도스토예스키의 대표작은 '죄와 벌', '백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입니다. '죄와 벌'은 주인공 라스콜니코프가 범죄 후 죄책감과 내면의 갈등을 겪는 이야기로 인간의 도덕적 갈등을 탐구하는 작품입니다. '백치'는 순수한 인물인 므지긴 공작이 러시아 사회의 부패와 갈등을 마주하는 이야기로 인간의 본성과 도덕을 다룹니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은 세 형제가 신의 존재와 도덕적 자유 등을 둘러싸고 벌이는 갈등을 그린 작품으로 인간 존재와 신앙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탐구합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