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왜래어와 차용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외래어는 우리말에 동화된 정도에 따라 귀화어, 외래어, 차용어가 있습니다. 귀화어는 '붓', '부처', '담배' 등으로 외국에서 들어온 말이라고 인식되지 않고 이 단어들을 대체할 다른 단어를 생각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고유어로 인식될 정도로 우리말에 완전히 동화된 경우를 귀화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외래어는 '센스', '선글라스', '박스' 등과 같이 외국에서 들어온 말이라는 인식이 분명히 있고 이들을 대체할 단어나 표현도 존재합니다. '감각', '색안경', '상자' 등의 단어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말과 동화된 정도가 가장 낮은 말을 좁은 의미의 외래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차용어는 '플라스틱', '니코틴', '패션모델' 등과 같이 외국에서 들어온 말이라는 인식은 있으나 이를 대체할 만한 단어나 표현을 찾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말들을 차용어라고 합니다.
Q. 소설 기법 중 내러티브 기법은 어떤 기법이고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소설의 내러티브 기법은 이야기를 어떻게 구성하고 전달하지를 정하는 방식으로 독자의 이해와 감정이입에 큰 영향을 줍니다. 대표적인 표현 방식으로는 서술자의 시점, 플래시백, 선형과 비선형 구조, 의식의 흐름 기법 등이 있습니다. 서술자의 시점 중 1인칭 시점은 인물의 감정을 직접 전달해 몰입감을 높이고 3인칭 시점은 객관적인 설명과 다양한 인물의 시각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플래시백은 인물의 과거를 보여주며 이해를 돕고 비선형 구조는 시간 순서를 바꾸어 긴장감을 높입니다. 의식의 흐름 기법은 인물의 복잡한 내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내러티브 기법은 독자의 감정 이입을 유도하고 이야기에 긴장감과 깊이를 더하며 다양한 시각에서 사건을 바라보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Q. 자기 객관화가 여성에게 더 강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자기 객관화는 자신을 외부의 시선, 즉 타인의 기준에 따라 바라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 현상이 여성에게 더 강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사회적, 문화적 배경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사회는 오랫동안 여성에게 외모 중심의 역할을 강조해왔습니다. 광고나 드라마, SNS 등 다양한 매체에서는 여성의 외모를 강조하고 아름다움을 중요한 가치로 제시합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여성은 자신의 가치를 외모로 평가받는 일이 많아 지고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게 됩니다. 또한 여성은 어릴 때부터 외모에 관한 칭찬을 자주 듣고 겉모습을 중요하게 여기는 문화를 경험하게 되는 것도 이유가 됩니다. '예쁘다', '공주같다'는 표현을 여자아이는 자주 듣게 되고 이런 말들은 외모 중심의 사고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줍니다. 이런 이유들도 인해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자기 객관화가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