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왜래어와 차용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외래어는 우리말에 동화된 정도에 따라 귀화어, 외래어, 차용어가 있습니다. 귀화어는 '붓', '부처', '담배' 등으로 외국에서 들어온 말이라고 인식되지 않고 이 단어들을 대체할 다른 단어를 생각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고유어로 인식될 정도로 우리말에 완전히 동화된 경우를 귀화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외래어는 '센스', '선글라스', '박스' 등과 같이 외국에서 들어온 말이라는 인식이 분명히 있고 이들을 대체할 단어나 표현도 존재합니다. '감각', '색안경', '상자' 등의 단어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말과 동화된 정도가 가장 낮은 말을 좁은 의미의 외래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차용어는 '플라스틱', '니코틴', '패션모델' 등과 같이 외국에서 들어온 말이라는 인식은 있으나 이를 대체할 만한 단어나 표현을 찾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말들을 차용어라고 합니다.
Q. 소설 기법 중 내러티브 기법은 어떤 기법이고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소설의 내러티브 기법은 이야기를 어떻게 구성하고 전달하지를 정하는 방식으로 독자의 이해와 감정이입에 큰 영향을 줍니다. 대표적인 표현 방식으로는 서술자의 시점, 플래시백, 선형과 비선형 구조, 의식의 흐름 기법 등이 있습니다. 서술자의 시점 중 1인칭 시점은 인물의 감정을 직접 전달해 몰입감을 높이고 3인칭 시점은 객관적인 설명과 다양한 인물의 시각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플래시백은 인물의 과거를 보여주며 이해를 돕고 비선형 구조는 시간 순서를 바꾸어 긴장감을 높입니다. 의식의 흐름 기법은 인물의 복잡한 내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내러티브 기법은 독자의 감정 이입을 유도하고 이야기에 긴장감과 깊이를 더하며 다양한 시각에서 사건을 바라보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