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저는 김민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김민준 전문가입니다.
김민준 전문가
도레이첨단소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정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정부가 금리를 직접 올릴수 있나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기준금리는 정부가 직접 강제로 조절할 수 없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독립적으로 물가, 경제상황 등을 종합해 기준금리를 결정하며, 정부는 법적으로 재의 요구 등 간접적 영향만 미칠 수 있습니다. 실제 결정 권한은 중앙은행에 있으므로, 정부가 마음대로 금리를 바꿀 수는 없습니다.
경제동향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미국금리랑 우리나라와의 상관관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금리가 오르면 국내 투자자금이 미국으로 이동해 원화 약세와 환율 상승이 나타나고, 우리나라 금리도 뒤따라 인상될 가능상이 큽니다. 반대로 미국 금리가 내리면 자본유입과 원화 강세, 국내 금리 인하 여력이 생깁니다. 이처럼 미국 금리는 환율•자본 흐름•금리 등 우리 경제 전반에 직결되어 높은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경제동향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최저임금올리면 물가도 같이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최저임금을 올이면 물가도 일부 오를 수 있지만, 그 영향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최저임금이 10% 인상될 때 전체 물가는 약 0.2~0.4% 오르는데 그쳐, 인상률만큼 물가가 크게 오르진 않습니다. 실제로 최저임금 인상폭이 컸던 해에도 물가 상승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등 두 지표의 등락은 일정하지 않아,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편입니다.
경제동향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m2지표가 높아지면 무슨의미가 있는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M2지표가 높아진다는 것은 시중에 현금, 예금 등 엌제든지 쓸 수 있는 돈이 많이 풀렸다는 뜻입니다. 이는 소비와 투자가 활발해지면서 경제가 성장할 가능성을 키우지만, 동시에 자금이 너무 넘치면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 위험도 커집니다. 그래서 M2 증가세를 통해 경기 회복 신호이자, 과도할 경우 물가 불안의 전조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금·적금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은행이 파산하면 예금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의 경우 은행이 파산하면 예금보험공사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자 1인당 원리금 합계 1억원(25년 9월 1일부터 상향)까지 예금을 대신 지급합니다. 1억원을 초과한 금액은 파산절차에 따라 일부만 돌려받을 수 있으며, 보장 대상은 예금•적금 등 한정됩니다. 여러 은행에 예금하면 은행별로 각각 1억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211
212
213
214
2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