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김수현 전문가
아트콜렉터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아연은 도금 말고도 따로 사용하는곳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의주신 것처럼 아연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곳은 도금이고요,이는 실제 아연 생산량의 55%가 도금에 사용될 정도로 가장 큰 사용처입니다.그리고 도금 이외이 아연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곳은 바로 합금입니다.대표적인 아연 활용 합금은 아연과 구리를 활용한 황동이 있고요,이외에 아연에 소량의 구리와 알루미늄, 마그네슘을 넣은 합금은 자동차 부품을 비롯하여수도꼭지, 베아링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한국사람들은 어느 도서 카테고리의 책을 많이 사서 볼까요?
안녕하세요. 질문하신 도서 판매량에 대한 데이터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만든 출판유통통합전산망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홈페이지 링크 : https://bnk.kpipa.or.kr/home/)해당 사이트에서 출판산업 통계 > 판매 통계 > 주제 분류별 판매량 통계 메뉴로 들어가시면,주제 분류별 판매량을 수치적으로 볼 수 있어 어느 카테고리의 책을 많이 구입하는지 확인이 가능하실 것 같네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음력을 사용하는 나라는 우리나라 외에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질문하신 음력을 사용하는 나라는 한국, 중국, 대만 이렇게 3개의 나라인데요,음력이 아시아권에서 과거에서부터 사용해오던 것이기에 서양에서는 사용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문화재중에 유네스코에 등록되어 있는것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유네스코 등재 유산은 크게 3가지 종류인데요, 세계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세계기록유산입니다.세계유산은 1972년 유네스코(UNESCO,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에 의거하여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유산을 지칭합니다. 인류의 보편적이고 뛰어난 가치를 지닌 각국의 부동산 유산이 등재되는 세계유산의 종류에는 문화유산, 자연유산 그리고 문화와 자연의 가치를 함께 담고 있는 복합유산이 있습니다. 한국의 세계유산은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화성,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 조선왕릉,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남한산성, 백제역사유적지구,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한국의 서원, 한국의 갯벌, 가야고분군 이렇게 총 16건입니다.인류무형문화유산은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에 의거하여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대표목록 또는 긴급목록에 각국의 무형유산을 등재하는 제도입니다. 2005년까지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프로그램 사업이었으나 지금은 세계유산과 마찬가지로 정부간 협약으로 발전되었습니다. 한국의 인류무형유산은 종묘제례 및 종묘 제례악, 판소리, 강릉단오제,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 영등굿, 처용무, 가곡, 대목장, 매사냥, 줄타기, 택견, 한산모시짜기, 아리랑, 김장문화, 농악, 줄다리기, 제주해녀문화, 씨름, 연등회, 한국의 탈출 이렇게 총 22건입니다.끝으로 세계기록유산은 유네스코가 고문서 등 전 세계의 귀중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2년마다 세계적 가치가 있는 기록유산을 선정하는 사업으로 유산의 종류로는 서적(책)이나 문서, 편지 등 여러 종류의 동산 유산이 포함됩니다.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은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직지심체요절, 승정원일기, 조선왕조 의궤,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 동의보감, 일성록,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난중일기, 새마을운동기록물, 한국의 유교책판,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찻습니다' 기록물,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조선통신사기록물, 419혁명기록물, 동학농민혁명기록물 이렇게 총 18건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아시아 최초로 올림픽을 교체한 나라는 어디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시아 최초 올림픽 개최국에 대한 답변을 드리면, 1964년 제18회 올림픽을 일본 도쿄에서 개최한 것이 아시아 최초의 올림픽이였습니다.그렇기에 일본이 아시아 최초 올림픽 개최국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예술가에게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후원하는 단어 전문가님들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문의주신 내용은 메세나(Mecenat)인 것 같은데요, 메세나란 작가, 예술가, 학자들의 창작이나 연구를 지원하는 후원자 또는 후원 활동을 일컷는 말입니다. 예전에는 주로 왕실이나 귀족, 부르주아 등이 주체가 되었던 메세나는 현대로 넘어오면서 기업이나 공공기관으로 주체가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 최초의 국립공원은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우리나라에는 현재 총 22개의 국립공원이 있는데요,그 중 가장 첫번째로 지정된 국립공원은 지리산 국립공원으로 1967년 12월에 지정이 되었습니다.이러한 국립공원에 대한 논의는 1929년부터 시작이 되었다고 하는데요, 그 당시 금강산이 국립공원 후보지로 언급이 되었고 1935년 금강산과 백두산이 지정 움직임이 있었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고 하네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전시회를 잘 즐길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시회에 관심을 가지게 되셨다니 반갑네요.사실 전시회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 예술을 즐기는 방법이 딱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닌데요,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이 재밌는 요소를 찾아나가는 것 같습니다.사실 사람에 따라 각 작품들이 만들어진 기획 의도 및 배경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있으며,작품이 전달하는 메시지 및 표현 방식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또, 작품 보다는 작가 자체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작품을 만들게 된 계기를 궁금해 하기도 하고요.사실 어떻게 보면 정해진 정답은 없으므로,본인이 전시회에 가서 관람할 때 관심이 가며 재밌게 느껴지는 요소를 찾아보시고,그런 방면으로 좀 더 찾아보거나 공부해보시면 점점 더 큰 전시회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는 하루에 자전을 몇 번 하나요?
안녕하세요. 지구가 자전하는 이유에 대한 유력한 가설은 항성과 행성이 형성되었을 때의 흔적이라는 것입니다. 이들 천체는 가스 구름이 서로 뭉치면서 형성된 결과물인데 이 가스 구름은 소용돌이 치는 형태로 빙글빙글 돌면서 뭉치게 됩니다. 마침내 모든 물질들이 뭉치면 하나의 천체가 되는 데 이 천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의 빙글빙글 도는 운동을 관성의 법칙에 의해 가지기 때문에 계속 끝없이 돌게 되는 것입니다. 초기 가스 구름의 회전이 매우 느리다 하더라도 가스가 뭉쳐 천체가 되는 과정에서 각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회전 속도는 매우 빨라지게됩니다.다음으로 지구의 자전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둘레를 24시간에 한 바퀴 돌기 때문에 둘레의 길이를 24시간으로 나누면 됩니다. 정확하게 24시간에 약간 못미치는 23.934시간이라고 합니다. 1시간에 15도만큼, 초당 0.0041도만큼 방향을 틀고 있는 것이지요.이러한 자전속도는 각 위도에 따라 다른데 적도면의 경우 반지름이 6400㎞ 정도이므로 2x3.14x6400/24=1675㎞/h가 됩니다. 1초에 465m를 이동한다는 말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위도 37도에 해당하는데 이 부분의 둘레는 5111㎞ 정도입니다. 따라서 자전속도는 1337㎞/h가 되지요. 초속 371m니까 실로 엄청난 속도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나침반의 원리를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수현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석의 성질을 갖는 나침반 바늘은 N극과 S극으로 나눠지는데요, 일반적으로 빨간색인 N극이 가리키는 방향이 북쪽이고 파란색인 S극이 가리키는 방향이 남쪽입니다.나침반이 항상 남북을 가리키는 이유는 지구가 북극이 S극, 남극이 N극인 하나의 큰 자석과도 같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침반의 N극은 항상 지구의 S극인 북쪽을 가리키게 되는거지요. 지구가 이러한 자석의 성질을 갖는 이유는 지구 자기장 때문입니다. 지구 자기장은 지구 외핵에 전기를 통하는 물질이 지구 자전 등으로 인해 대류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외핵은 철, 니켈, 코발트 등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구 자기장은 계절 및 시간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도 합니다.
123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