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예금금리 인하가 금융 시장과 소비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의 주요 영향으로는,예금자에 대한 영향 : 예금 금리 하락으로 이자 수익 감소, 안전자산 선호 감소,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증가합니다. 대출자에 대한 영향 : 가계와 기업의 대출 이자 부담 감소하고, 연간 이자 부담이 감소하게 됩니다. 금융 시장에 대한 영향 : 주식 시장 활성화 가능성. 예금 금리 하락으로 자금이 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채권 가격 상승.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비례 관계)경제 전반에 대한 영향 : 소비와 투자 증가 가능성, 건설업 등 금리에 민감한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결론적으로 금리 인하는 대출자 부담을 줄이고 경기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예금자 이자 예금이자 수익이 감소하게 됩니다.
Q. 2025(2024)년 우리나라 예산은 어느정도 되며 어떻게 쓰이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2025년 예산안은,총수입: 651조 8천억 원 (전년 대비 39조 6천억 원, 6.5% 증가)총지출: 677조 4천억 원 (전년 대비 20조 8천억 원, 3.2% 증가) 입니다. 주요 지출 항목으로는 복지 및 민생 지원 예산으로는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연간 141만 원 인상), 노인 기초연금(총 1조 6천억 원), 공공주택 공급( 14조 9천억 원)이 배정됐습니다.경제 활성화 및 미래 대비 예산으로는 반도체 투자 저금리 대출(4조 3천억 원), 연구개발(R&D) 예산에 29조 7천억 원이 배정됐습니다. 의료 및 국방예산으로는 필수·지역 의료 강화( 2조 원), 국방 예산 61.6조 원입니다. 참고로 2024년 예산은 총지출 약 656.6조 원이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Q. 주식상장폐지 조건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상장 기업의 폐지 조건은, 자본금 전액 잠식하거나, 2년 연속 매출액 50억원 미만이거나, 관리종목 지정 후 90일 이내 시가총액 부족 상태 지속되는 경우에 폐지 조건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부적정 또는 의견거절, 2년 연속 한정 의견을 받은 경우, 법정 기한 내 미제출한 경우, 일반주주 수 200명 미만 또는 지분율 5% 미만 2년 연속인 경우, 반기 연속 월평균 거래량이 유동주식 수의 1% 미만인 경우 폐지 조건에 부합합니다.
주식·가상화폐
Q. 주식 용어로 오버행이 무슨 뜻인가요? 다음주에 있는 공모주 청약을 할려고 하는데, 전문가들 분석에 따르면 오버행이 부담이 된다고 하네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오버행은 시장에 대량으로 매도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인 주식 물량을 의미로 언제든 시장에 매물로 나올 수 있는 물량을 말합니다. 주로 IPO, 유상증자, 블록딜 등으로 취득한 대량 주식의 보호예수 기간 만료되는 시점에서 오버행이 발생합니다. 해당 공모되는 주식도 보호예수되는 물량이 공모주 상장과 함께 시장에 쏟아져 나와 공모가격 이하로 하락될 위험이 있음을 말합니다. 그렇다고 오버행 이슈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투자를 피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를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식·가상화폐
Q. 가상화폐 거래시 원화BTC, USDT 종류가 있는데 어떤게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가상화폐 거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거래쌍은 원화(KRW), 비트코인(BTC), 그리고 테더(USDT)입니다. 원화 거래쌍은 원화를 사용하여 직접 가상화폐를 거래합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친숙한 통화로 직접 거래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BTC 거래쌍은 비트코인을 기준으로 다른 가상화폐와 거래하며 다양한 알트코인 거래 가능 및 대부분의 거래소에서 지원됩니다. USDT 거래쌍은 테더(USDT)를 기준으로 가상화폐를 거래하며 달러와 1:1 페깅(고정)되어 있어, 변동성이 적다는 점이 있습니다. 다양한 거래소에서 널리 사용되어 거래가 용이합니다. 트레이더들이 USDT로 거래하는 이유는 변동이 적어 안정적인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고 많은 국제 거래소에서 USDT 거래쌍이 있어 거래가 쉽고 빠르다는 점과 다양한 알트코인에 대해 거래 가능하며, 국가 간 자산 이동 시 유리하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Q. 선도계약의 현재가치를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선도금리계약(Forward Rate Agreement, FRA)의 현재가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잘 이해하고 계십니다. 선도금리계약의 현재가치 공식: $$PV = (L - R) \times N \times \frac{d}{360} \times e^{-rT}$$L = 현재 LIBOR 금리 --> 5.6%R = 계약된 고정 금리 --> 5.0%N = 명목 원금 --> $2,000,000d = 계약 기간 (일수, 여기서는 365일 가정)r = 현재의 연속복리 무위험 이자율T= 현재부터 계약 시작까지의 기간 2년 후자료 주신대로 0.006 × $2,000,000 = $12,000$12,000 × (365/360) ≈ $12,166.67$12,166.67 × e^(-r × 2) 로 구합니다. 주의점) 일수 계산시 FRA에서는 실제 일수/360을 사용합니다.(위에서는 365일 가정)그리고 계약은 2년 후에 시작되지만, 그 시점의 가치를 현재 시점으로 할인해야 합니다.결론적으로, 접근 방식은 올바르지만, 일수 계산과 정확한 할인율을 고려해야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