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 예술분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예술분야 전문가입니다.

김광철 전문가
철학연구소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 시대 경저리제도는 통일 신라의 상수리제도와 고려 시대 기인 제도와 비교했을때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고려 초기의 기인이 맡았던 임무인 각 고을의 공물 상납 및 연락 등을 담당하는 지방 각관의 분실로 경저를 서울에 두었습니다. 공물 상납을 위하여 상경한 공리(貢吏)들은 경저에서 숙박하는 것이 통례였고, 공납 물품도 여기를 경유하여 각사에 상납되었습니다. 경저에는 몇 사람의 경저리(京邸吏)를 두었는데, 그 장을 경주인(京主人)이라 하고 그 아래 서원(書員)·서리와 관노를 두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왕실을 보통 백제계라고 알려저
안녕하세요. 간무 천황의 어머니가 백제 무령왕의 아들인 순타태자의 후손이라는 기록은 분명 『속일본기』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란 다소 어려운 일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화교분들이 한국에 정착해서 살게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국에 정착한 화교들의 본격적인 시초는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청나라군이 주둔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시기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에 의해 청나라군의 잡일을 도와주려는 청나라 상인들이 조선에서의 상업 활동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한국의 화교들은 인천과 직항이 있던 산동 지방 출신들로 대부분이 청나라군의 잡일 등을 도와주기 위해 왔다가 상업을 하기 시작했으며, 청나라군이 되돌아갔을 때 많은 자들이 산둥성으로 돌아갔지만 남아서 상업활동을 한 자들이 화교가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향신료 후추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후추는 고려시대에 송나라와의 교역을 통해 들어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고려시대의 학자 이인로가 저술한 ‘파한집’에 처음 후추가 언급됐으며, 이로 미뤄 봤을 때 고려 중엽에는 이미 우리나라에 소개가 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 고려시대의 역사서 ‘고려사’에는 “1389년(공양왕 1년) 유구의 사신이 후추 300근을 가져왔다”는 기록이 나옵니다. 고려 말에는 중국에서뿐만 아니라 남방에서도 직접 후추가 유입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수입에 의존했을 뿐 아니라 그마저 소량이라 매우 귀했습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임진왜란 등을 거치며 거래량이 줄어 가격이 더욱 올랐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경제정책중 수취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고려는 신라 말의 문란한 수취 체제를 다시 정비하고 재정 운영에 필요한 관청도 설치하였습니다. 고려는 재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토지와 호구를 조사하여 토지 대장인 양안과 호구 장부인 호적을 작성하였고, 이것을 근거로 조세, 공물, 부역 등을 부과하였습니니다.조세는 토지를 논과 밭으로 나누고, 비옥한 정도에 따라 3등급으로 나누어 부과하였습니다. 거두는 양은 생산량의 10분의 1이었습니다. 거둔 조세는 각 군현의 농민을 동원하여 조창까지 옮긴 다음, 조운을 통해 개경으로 운반하여 보관하였습니다.공물은 집집마다 토산물을 거두는 제도입니다. 중앙 관청에서 필요한 공물의 종류와 액수를 나누어 주현에 부과하면, 주현은 속현과 향, 부곡, 소에 이를 할당하고, 각 고을에서는 향리들이 집집마다 공물을 거두었습니다. 공물의 종류로는 매년 내어야 하는 상공과 필요에 따라 수시로 거두는 별공이 있었습니다.역은 국가에서 백성의 노동력을 무상으로 동원하는 제도로, 16세에서 60세까지의 남자를 정남이라 하여 의무를 지게 하였습니다. 역은 군역과 요역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이 밖에, 어민에게 어염세를 거두거나 상인에게 상세를 거두어 재정에 사용하였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빈센트 반 고흐는 왜 스스로 귀를 잘랐나요?
안녕하세요. 고흐가 귀를 자른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가설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화가공동체에서 함께 작품활동을 했던 고갱과의 불화로 인한 분노의 표출로 자신을 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흐의 그림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그려내는 것을 좋아한 반면 고갱은 기존의 모습에 자신만의 창의적 생각을 가미한 그림을 선호하는 스타일이었습니다. 고갱이 그린 ‘해바라기를 그리는 반 고흐’라는 작품에서 표현된 고흐의 흐리멍텅한 눈의 모습에 고흐는 “자신의 정신상태를 조롱했다”고 판단하고 분노했다고 합니다. 또 다른 가설로는 반 고흐가 그의 동생 테오가 결혼하게 된다는 소식이 담긴 편지를 받은 뒤 정신분열 상태에 빠져 귀를 잘랐다고도 전해집니다. 이 결혼으로 자신과 동생사이가 벌어지고 가족 부양의 압력 때문에 동생이 재정적으로 자신을 돌보지 않을 것이라는 공포 때문에 귀를 자르게 되었다는 가설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유일의 여황제 측천무후, 왜 '글자 없는 비석' 세웠나요?
안녕하세요. 당나라 측천무후(624~705)의 비석은 글자가 없습니다. 그녀는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성황제로 15년간 재위하면서 혁명적인 정치일정을 밟았습니다. 그녀의 마지막 유언은 자기비석을 글자없이 비워두라는 것이었습니다. 남자들이 지을 비문은 보나마나 여자인 자기에게 결코 후하지 않을 것이며 또 제국을 위한 대인배 정치를 소인배들은 절대로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는 염려 때문이었다고 전해집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통일신라시대 유학을 담당한 6두품의 중대와 하대 역할 및 저서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라의 6두품은 진골 밑 계급 중에서 가장 유력 계층이었습니다. 성골과 진골이 넓은 범위의 왕족들인 것을 감안하면 왕족이 아닌 사람들 중에서는 가장 서열이 높은 계층이었습니다. 6두품에 해당되는 계층은 신라가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통합한 경주에서 가까운 지역에 있던 중소 국가들의 지배층들이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6두품이 본격적으로 두각을 나타낸 것은 신라 중대였습니다. 삼국통일을 전후로 6두품 이하 귀족들의 불만을 무마하고 진골을 누르기 위해 중위제(重位制)가 전격 시행되었고 이 제도를 통해 6두품은 4중아찬까지 진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신문왕은 중위제를 활용하여 6두품을 적극 기용하였습니다. 그래서 6두품이 가장 많이 빛을 발했던 때가 삼국통일전쟁기부터 신라 중대 전제왕권기입니다.중대에서 하대로 넘어가면서 중앙 진골끼리의 왕권 다툼이 격화되었고 신라 중대 왕실을 이룬 태종 무열왕계 진골들과 김유신 가문의 진골들도 하대에 이르면 원성왕계 진골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세력을 잃고 6두품으로 격하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대 삼국시대 교육 방법이 궁금합니다. 고구려 태학과 경당, 백제 5경 박사, 신라 임신서기석과 통일 신라 독서삼품과 등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고구려의 태학은 소수림왕 2년(372)에 설립되었으며 기록상 한국 최초의 학교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학은 명칭으로 볼 때 중국 동진의 학교제도를 모방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당시 동진에서는 일찍이 태학을 운영하고 있었고, 또한 동진과 고구려가 긴밀한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고구려의 태학은 동진의 것을 참고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동진과 마찬가지로 고구려 태학의 입학 대상 역시 귀족층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태학은 관료양성기관이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고구려의 경당은 지방에 설립된 학교로서 고구려의 곳곳에 경당이 존재하였습니다.백제에는 교육기관과 관련하여 ‘박사’라는 호칭이 있었습니다. 박사는 원래 중국에서 유교경전의 연구와 교육을 담당했던 학관(學官)의 일종인데, 학관이 있었다는 것은 곧 교육기관이 있었음을 의미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메이데이의 어원과 뜻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메이데이(Mayday)는 무선 전송 원격 통신에서 조난 신호로 쓰이는 국제적인 긴급 신호입니다. 이 말은 프랑스어 'venez m'aider' 또는 'm'aidez'에서 유래한 용어로서 "날 도우러 오시오"라는 뜻의 뒷부분이 몬더그린화되며 정착된 단어입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