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성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전문가입니다.
최성훈 전문가
고려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피부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피부가 빨갛고 부어올랐는데 오래 됐어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으로 미루어 원형 모양의 물체와 접촉으로 인해 생긴 피부염이나 습진의 가능성이 생각됩니다. 건조한 피부와도 연관이 있을 수 있어 장시간의 목욕과 뜨거운 물, 세정력이 강한 비누 사용을 피하고 10분 이내 짧은 시간 내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마치고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보습제를 바르기 바랍니다. 처방된 스테로이드 연고를 꾸준히 사용해보고 호전이 없을 경우 더 효력이 강한 스테로이드제가 필요할 수 있어 피부과를 다시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비둘기가 저공비행으로 제 머리위로 지나갔는데 병균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비둘기를 직접적으로 만지거나 분비물이 묻은 것이 아니라면 크게 우려하진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귀가 후 세정제를 사용하여 깨끗이 샤워를 하시고 평소 면역력을 키우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의 식사를 할 것을 권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손가락 감각이 둔해지고 저림 증상에 대해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만일 신경이 손상 받은 경우 회복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며 경우에 따라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먼저 처방된 약을 꾸준히 복용하며 경과를 지켜보시고 증상이 더 나빠지는 것 같다면 신경과나 신경외과 진찰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안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눈 관련 문의인데 눈 괜찮은걸까요? ㅜㅜ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적어주신 내용만으로 원인을 알긴 어려우나 안과 진료를 다시 받아보시고 안 질환 문제가 아니며 증상이 반복 또는 악화 시 신경계 질환의 가능성에 대해 신경과 검사 확인도 필요하겠습니다.
내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혹시 이증상이 지방변인가요?둥둥떠잇긴한데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 속 대변은 지방변은 아닙니다. 다만 무른 변으로 소화 장애의 동반 가능성이 생각되므로 음주, 흡연, 카페인, 자극적이거나 기름진 음식의 섭취를 피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단의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하시고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병원 진료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비뇨의학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요로결석 의심 증상이 사라지면 병원 안가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결석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 자연적으로 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현재 불편 증상이 호전되었다면 경과를 지켜보시고 다시 증상이 있다면 서둘러 병원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안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눈 위에 뭐가 있습니다 눈을 감았다 뜨면 이물감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눈이 감았다 뜨면 이물질이 있는 것처럼 불편하고 평소보다 눈이 잘 안 떠지는 듯하다면 안 질환의 가능성이 생각됩니다.인공 눈물이 있다면 넣어보고 증상이 지속될 경우 안과 진료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일반적으로 복용 중인 헬리코박터균 약과 연관성은 낮겠습니다.
안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콘텍콘텍트를 끼면 눈이 커지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콘텍트 렌즈를 착용한다고 해서 실제로 눈이 더 커지진 않습니다. 눈을 가리는 안경이 없어져 상대적으로 더 커져 보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타 의료상담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평소 돌봐주던 길고양이한테 물렸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필수 예방접종을 마친 기르는 반려묘와 다르게 길 고양이의 경우 좋지 못한 위생으로 인한 세균 감염이나 광견병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도 있습니다. 성인이 된 후 파상풍 접종을 맞은 적이 없다면 예방 접종을 받고 꾸준히 소독을 하며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지 잘 지켜보기 바랍니다.
내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오른쪽상복부가 찌르듯 통증이더니 왼쪽 상복부도 찌르듯 아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적어주신 증상은 질환을 추정하긴 어려운 비특이적 소견으로 불편 증상이 지속된다면 신체 진찰 외 복부 CT, 내시경 검사를 권합니다. 배를 따뜻하게 하고 음주, 흡연, 카페인, 자극적이거나 기름진 음식, 여름철로 차가운 음식을 많이 먹을 경우 장이 자극되어 불편감이 심해질 수 있어 주의하기 바랍니다.
136
137
138
139
1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