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의 감염확률이 어느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은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세균으로, 감염된 사람과 피임 도구 없이 성관계를 할 경우 감염될 확률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감염 확률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은 상대적으로 감염 확률이 높지 않지만 무증상 상태에서 감염이 전파될 수 있어, 감염된 사람과의 성관계 시 전파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해요여자친구가 무증상이라면, 그녀가 이미 균을 보유하고 있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균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피임 도구(예: 콘돔)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감염 확률이 약 20%에서 30% 정도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확률은 성관계의 빈도, 면역 상태, 그리고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의 활동성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이미 음성 판정을 받은 상태라도 잠재적인 감염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주기적인 검사와 예방 조치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엄지발가락 뒤쪽(발바닥)이 아픈데 병명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엄지발가락 뒤쪽, 발바닥 부위에 찌릿한 통증이 발생하는 것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은 주로 발뒤꿈치 쪽에 통증을 유발하지만, 발바닥의 다른 부위에서도 통증을 경험할 수 있어요복싱과 같은 활동으로 발에 충격이 가해졌다면, 발바닥 근육이나 인대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아침에 일어날 때 발바닥의 특정 부위가 아프게 느껴질 수 있죠또한, 발가락 뒤쪽 부위의 통증은 무지 외반증(엄지발가락 변형)이나 발가락 관절염 같은 문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엄지발가락의 관절이나 주변 인대에 무리가 가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구요. 복싱을 시작한 후에 발에 부담이 많았다면, 이러한 문제들이 통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통증이나 불편함이 있다면 정형외과 등의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Q. 루테인 건강기능식품먹고 자몽티 아이스로 먹었더니 두통이 심하게와서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루테인 건강기능식품과 자몽 티 아이스의 조합으로 두통이 발생한 것은 자몽이 일부 약물의 대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자몽에는 특정 효소인 CYP3A4를 억제하는 성분이 있어, 이 효소에 의해 대사되는 약물의 농도가 증가할 수 있어요건강기능식품도 약물처럼 대사되기 때문에 자몽과 함께 섭취하면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두통은 이러한 상호작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증상 중 하나구요또한, 최근 뇌진탕 증세가 있었다면 두통이 더 민감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뇌진탕 후에는 뇌가 민감해져서 두통이나 불편함을 더 잘 느끼게 되기도 하죠이런 경우에는 자몽과 건강기능식품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이전의 뇌진탕 증세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두통이 계속되거나 심해지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아요
Q. 가슴두근거림 증상이 있을때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가슴 두근거림(심계항진) 증상이 있을 때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가만히 있을 때 가슴이 빠르게 뛰는 느낌이 나고 헛기침이 동반되는 증상은 여러 가지 심혈관 및 비심혈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어요. 이를 위해 어떤 검사를 받아야할지 설명드리자면...첫 번째로, 심전도(ECG)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심장 리듬이나 불규칙한 박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가슴 두근거림이나 불규칙한 심박이 나타날 때 심전도를 통해 즉각적인 이상 징후를 파악할 수 있죠두 번째로, 24시간 홀터 모니터링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는 심전도를 장기간 동안 기록하는 방식으로, 하루 동안의 심장 박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가슴 두근거림의 원인을 찾아내는 데 유용합니다. 하루에 여러 번 증상이 발생한다고 하셨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날 때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요마지막으로, 심장 질환 이외의 원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혈액 검사나 갑상선 기능 검사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 이상이나 빈혈 등의 문제도 가슴 두근거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검사들을 통해 다른 가능성도 확인하는 것이 좋아요이러한 검사를 통해 원인을 정확히 진단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계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심장 전문의나 내과 의사를 찾아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