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수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전문가입니다.

김수비 전문가
QUB
내과
내과 이미지
Q.  병원 혈액검사 후 결과 관련해서 진료 없이 결과지만 받아도 기록에 남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병원에서 혈액검사 후 그 결과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의료 기록에 기록됩니다. 검사 결과는 병원의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에 자동으로 저장되며, 이를 통해 의사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의사와의 진료 없이 검사 결과만 수령한다고 해도 결과는 의료 기록에 남게 됩니다. 보험 관련 문제에서 중요한 점은 환자가 검사 결과를 알지 못했다는 점보다는 그 결과가 병원 기록에 남아있을 수 있다는 것이죠즉, 결과를 수령하지 않고 진료를 받지 않았더라도 검사 결과 자체는 병원 기록에 남습니다. 특히, 보험 가입 시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결과가 병원에 기록되고 보험사에 제출될 수 있는지에 대한 사항도 고려해야 합니다. 보험사의 요구 사항에 따라 결과가 제출되거나 확인될 수 있으므로, 결과 수령 여부와 상관없이 의료 기록은 보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이와 관련해 자세한 사항은 보험 계약자와의 약관 및 병원의 정책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손바닥 손가락 만나는 마디 통증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손바닥과 손가락이 만나는 마디에 따가운 통증이 생긴 경우, 건염(tendonitis)이나 힘줄에 무리가 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최근 운동 중 무리가 갔던 경우, 손가락 근육이나 힘줄에 부담이 가면서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외부 자극(만졌을 때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힘을 주거나 사용할 때는 통증이 적을 수 있어요손가락 관절 근처에 있는 건(힘줄)이나 윤활막이 자극을 받아 염증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또한, 신경압박이나 압박에 의한 통증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손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이나 손가락 관절의 국소적 신경 자극이 원인일 수 있죠 운동 중 무리하게 손을 사용하거나 잘못된 자세로 손목에 압박이 가해지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지면, 의사의 진료를 통해 염증 여부나 다른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개복술과 소장 대장 절제 시 가스나 대변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개복술 후 식사 시작 여부는 수술의 종류와 수술 후 복부 장기의 기능 회복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소장이나 대장을 절제하지 않거나 건드리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단순한 개복술(부인과 수술, 종양 제거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장운동의 회복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장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부위가 없으므로 복부 X-ray나 영상검사로 복부 내 이상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후 식사 시작이 가능해요 다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증상이나 복부 팽만이 있다면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반면, 소장 또는 대장을 절제하거나 문합을 한 경우는 장운동이 반드시 회복되어야 하고, 이때 가스 배출과 대변 배출 여부가 식사 시작의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가스가 빠지지 않거나 바울 무브먼트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면 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지 않다는 신호이므로, 식사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장의 기능 회복을 확인해야 해요. 이와 관련해 ERAS(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프로토콜에서는 회복을 돕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식사를 시작하되, 장운동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신중해야 한다는 지침이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 개복술에서는 장운동 회복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가스나 대변이 빠지는지 확인하지 않고도 식사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관련 키워드로는 "ERAS protocol postoperative feeding", "Return of bowel function after laparotomy", "Gastrointestinal recovery after abdominal surgery" 등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광대뼈 부근의 피부가 먹먹하면서 찌릿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광대뼈 부근의 피부가 먹먹하고 찌릿하며 감각이 둔해진 느낌은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중 일부 가지, 특히 상악신경(V2 branch)의 자극이나 손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악신경은 얼굴의 광대뼈, 눈 밑, 윗입술 부위를 담당하는 감각신경입니다. 이 부위에 염증, 부기, 압박(예: 잘못된 수면 자세로 인한 압박), 혹은 바이러스성 신경염(예: 대상포진 초기) 등이 생기면 감각이 둔해지고 찌릿한 느낌이 날 수 있어요또 다른 가능성은 일시적인 신경 압박 또는 근육 긴장입니다. 잘못된 자세로 자는 동안 광대뼈 주변의 피부 밑 신경이 눌리거나, 주변 근육(관자근, 교근 등)이 긴장되면서 통증과 감각 이상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1~2일 이내에 호전되며, 온찜질이나 가벼운 마사지가 도움이 될 수 있죠하지만 증상이 며칠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지고, 감각이 더 둔해지거나 통증이 강해지는 경우, 특히 물집, 발진, 시야 이상, 안면 마비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삼차신경통이나 대상포진, 뇌신경 관련 질환 등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신경과 또는 이비인후과 진료를 권장드립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턱, 목, 쇄골에 통증이 있는데 무슨 경우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턱 밑, 목, 쇄골 부위에 통증이 있으면서 약간 붓고 열감이 느껴진다면, 림프절염이나 세균성 감염(예: 편도염, 침샘염)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감기나 인후통, 치과 문제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감염에 반응해 림프절이 붓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어요통증이 턱 양 옆이나 쇄골 아래까지 퍼진다면 염증이 넓게 번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고, 열감과 간헐적인 두통도 전신적인 면역 반응의 일부일 수 있죠특히 통증이 며칠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지고, 음식물 섭취 시 통증이 더 심해지거나, 붓기가 뚜렷하다면 병원 진료가 꼭 필요합니다. 초음파나 혈액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나 다른 이상을 확인하는 것이 좋고, 드물지만 결핵성 림프절염이나 갑상선 문제 등도 배제할 수 없어요빠르게 병원 방문하셔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3863873883893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