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경전에서의 회개와 참회는 같은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회개와 참회는 윤리적 단어가 아니며, 이 용어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회개와 불교에서 쓰는 참회는 종교적 신앙적으로 그 내용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다. 기독인들이 말하는 회개하라는 성경적 개념은 하나님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인간이, 자신의 사상이나 생각에 의존하여 살아왔던 과거의 사고방식을, 전파된 복음을 듣고 믿음으로 그리스도를 완전히 의존함에 따라 인격의 삶 자체를 살아 계시는 하나님께 돌이켜 복귀시키는 의지적 결심이고 반면 참회는 윤리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대상은 모든 중생 입니다. 사람들이 자기가 지은(알고든 모르거든) 죄과를 여러 사람 앞에 숨김없이 공개하고 용서를 구하는 것을 참(懺)이라 하고, 그 죄과를 뉘우치고 다시는 짓지 않겠다는 회(悔)가 합쳐서 참회라 합니다. 그러므로 중생들은 항상 참회하는 마음으로 생활해야 한다는 것이 부처님 가르침 입니다.
Q. 언어는 인간의 사고와 문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네에 언어는 사고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일부 언어에는 과거, 현재, 미래를 나타내는 단어가 많고, 다른 언어에는 덜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시간 지각은 언어가 제공하는 시간적 범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부 언어에는 대량 수에 대한 구체적인 단어가 있고, 다른 언어에는 없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수의적 추론은 언어가 제공하는 대량 수에 대한 구체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