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왜 대중목욕탕이 활성화 되었는지 과거 특별한 계기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대중목욕탕의 본격적인 발전은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한국으로 많이 이주해오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 일본인들은 그들의 기후조건 및 지형적 조건으로 자주 목욕을 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한국에 이주한 일본인들은 목욕의 불편을 느껴 공중욕탕을 설치하고자 하였으나 한국인들의 거센 반발로 쉽게 착수하지는 못하였는데 왜냐하면 당시 한국적인 사고방식으로는 여러 사람이 모인 곳에서 옷을 벗고 목욕을 하는 것은 천민들이나 하는 짓으로 여겼기 때문 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에 대중목욕탕이 처음 설립된 것은 1920년대 초반인 1921년경에 평양에서였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문득 궁금해 지는데 에디슨이 전구 말고도 발명하여 지금까지 영양을 미치는 것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에디슨의 발명품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제일 먼저 전화기가 있고 적외선 투시기, 마이크로폰과 음악산업의 발전을 이끈 에디슨의 디스크레코더도 있고 전기발전소도 설계를 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장족의 발전이라는 표현의 장족은?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속도가 매우 빠르게 발전하거나 진보했다는 뜻입니다. 장족 (長足) 의 원래의 뜻은 '긴다리'나 '빠른 걸음'이지만, 주로 '장족의' '장족으로' 꼴로 쓰여 발전이나 진보의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따라서 '장족의 발전'이란 '속도가 매우 빠르게 발전하거나 진보했다'는 의미 입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과거 양반들은 아무 집에서나 잘 수 있었다던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의 양바 집들을 보면 크 집들은 대부분 행랑채나 사랑채라고 해서 손님들에게 하룻밤 묵고 가게 해주는 방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무 에게나 내주는 방은 아니고 안면이 어느 정도 있는 사람에게 주는 방이라고 합니다.
음악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문득 궁금해 지는데 우리나라에 노애방은 언제 처음 도입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노래방은 1991년 4월 부산 동아대 앞 로얄전자오락실이다.우리나라의 첫 노래방은 일본 가라오케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첫 노래방의 노래반주기는 지금과 형태가 비슷했지만, 동전을 넣고 1곡씩만 부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오늘날 오락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전노래방’이 노래방의 원조격인 셈 입니다.
516
517
518
519
5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