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학에서 수사학과 관용어라는 표현의 정의와 예문?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관용적이라 함은 습관적이라는 의미 입니다. 즉 관용어라 하면 서구어의 숙어와 같은 뜻으로 쓰이고 있으나, 이 용어 자체가 지닌 습관적이고 ‘관습화된 말’이라는 뜻, 또는 우리 학계에서 속담·속어·은어 등도 여기에 포함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용어의 개념 및 범위를 보다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는데 의미나 구조상 관습적으로 특별히 굳어진 단어나 구절이라는 점에서 관용어에는 숙어 이외에도 속담·고사성어·금기어·길조어·수수께끼·비유어(특별히 굳어진 직유·은유·제유·환유 등)·은어·상투어 등도 포함시키는 것이 최근 국어학계의 새로운 경향입니다. 예를 들어, 시간은 금이다 . ( Time is gold ) 라는 말은 사회적으로 누구나 습관적으로 알고 있는 말이기에 관용어 라고 볼수 있습니다. 반면 수사학이란 사람을 설득하고 그에게 영향을 끼치는 언어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 수사학입니다. 수사(修辭)란 언사(言辭)의 수식(修飾)이란 뜻으로 말과 글을 아름답게 꾸미는 데 그 의의가 있는데 이러한 수사학은 오랫동안 문장을 장식하는 수단으로만 생각되었으나, 현대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확한 전달과 설득을 위한 모든 수단을 고찰하는 기능으로 인정되고 있다고 합니다. 다음 예문 을 참고 바랍니다. “그 전문가의 견해를 확인할 수 있는 한 가지 예는 애플의 아이스토어(iStore)와 월마트(WalMart)를 비교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소비자의 논리(즉, 로고스)에 호소한다. 닥터로우는 독자가 자신이 비교한 내용을 보고 아이스토어와 같은 강력한 기업이 독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검토해 보면 아이패드에서는 아이스토어를 통해 구입한 앱과 프로그램만 실행할 수 있다."
Q.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CNN Travel이 매년 선정하고 있는 세계 50대 음식에서 태국의 마사만 카레가 또 다시 1위에 선정이 되었다고 합니다. 최신 CNN Travel의 The World's 50 Best Foods는 CNN Travel 직원이 전 세계 각지를 돌며 맛있는 음식을 찾아 리스트를 만든 것으로 2023년 4월 업데이트에서 태국의 마사만 커리가 여전히 1위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코코넛 밀크, 감자, 양파, 닭고기 등이 주 원료 이라고 합니다.
Q.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건 무슨 이유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불안정하면 화폐 가치는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정치적 불안정, 경제 정책의 실패, 높은 실업률 등이 이에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 물가 상승에서 의미하는 화폐 가치 하락은 화폐와 재화 및 서비스의 교환이며, 수출의 감소로 나타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