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역사
역사 이미지
Q.  거란은 어떤 과정으로 멸망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916년 건국 당시에는 국호가 거란 (契丹)이었는데, 947년 에 대요로 바꾸고, 1125년 에 송나라와 연합을 하 연진족이 세운 금나라 의 공격을 받아 멸망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서양에서는 언제부터 한반도에 왕국이 있다는 걸 알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왕조에 들어와서 서양인 가운데 조선의 존재를 의식한 사람들은 포르투갈인 항해자들이었습니다. 그들이 고레스(Gores)라 부른 호칭은 琉球에 표착하여 살고 있던 조선인을 지칭하는 단어로 비정되고 있는데 그러나 조선에 대한 구체적 인식은 16세기 그리스도교 선교에 종사하던 선교사들을 통해서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들은 그리스도교의 선교를 목표로 해서 조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런데 당시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의 동아시아의 정세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대 전환기에 놓여 있었습니다. 당시 조선과 일본 그리고 중국 모두는 일대 전환기를 맞이했고 이러한 상황에서 유럽인 선교사들은 자신이 추구하는 첫번째 목적이었던 선교에 대한 관심과 관련하여 당시의 현실적 정세 및 국가간의 전쟁에 대해서도 주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즉 유럽의 선교사들은 동아시아에서 전개되는 국가간의 전쟁과 그리스도교의 선교라는 두 가지 조건과 관련하여 조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해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도의 돌하르방은 무엇을 상징하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의 돌하르방은 화산섬 제주에 널려 있는 현무암을 깎아서 만든 석상으로 제주에 존재했던 세 개의 읍성 (제주읍성, 대정읍성, 정의읍성) 각 문 앞에 세워 읍성을 보호하는 수문장 역할과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했던 것으로 여겨 진다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표현법을 알고싶은데 잘 안되네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결국 이러한 상황이 되었다 라는 말은 굳이 안해도 됩니다. 오히려 그렇게 설명을 하는 게 고리 타분 하고 옛날 소설 느낌을 줄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남자는 차를 끌고와서는 '야 타!'를 시전한 결과 지금의 결과를 초래 했다. 혹은 지금같은 일이 벌어지게 되었다 정도로 할수도 있을 것 같지만 굳이 이런말을 안해도 문장을 이어 가는데 무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논개나 계월향의 이야기는 모두 실화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논개 (의기 주씨(義妓朱氏) 또는 의부 주씨(義婦朱氏) 1574년 9월 3일 ~ 1593년) 조선 선조 때의 관기 입니다. 임진왜란때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왜장을 꾀어내어 그를 끌어안고 남강에 투신한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다만, 논개(論介)라는 이름은 그녀의 본명인지 별칭인지 확실하지 않다고 합니다. 주달문과 밀양박씨의 딸이며 병마절도사 최경회의 첩이었느데 본관은 신안(新安)의 전라북도 출신 입니다. 계월향(桂月香,~1592년)은 조선의 평양의 명기 입니다. 흔히 평양의 노개라고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당시 평안도 병마 절도사 김을서의 애첩으로, 임지왜란에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의 부장에게 몸을 더럽히게 되자, 적장을 속여 김응서로 하여금 적장의 목을 베게 한 후 자결하였다고 합니다.
7917927937947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