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장우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우영 전문가입니다.

장우영 전문가
동수원(종합)병원
안과
안과 이미지
Q.  안경 맞추려는데 이거 제발 해석해주세요 10번 바꿨어요
안녕하세요. 25년차 병리과 전문의 장우영 의사입니다.저하고 똑같은 상황이네요 ^^;근시와 난시가 "섞여있고" 축이 좌우가 "같지 않고" 도수는 "높고" ㅠㅠ총체적 난국 입니다 ㅠㅠ이런 분들은 도수를 0.25 정도 변경 시켜도 민감하게 반응해서 어질어질 촛점 안 맞아~ ㅠㅠ 하시는 분이 대부분입니다.축이 다른 것도 한몫을 단단히 합니다 ㅠㅠ일단 해결책은 안과를 찾아가야 합니다안경점에서 단순 측정 하기에는 도수가 너무 높아요 -_-;;;안과에서 동공 확장하는 약을 넣고 (따가와요 ㅠㅠ) 기다렸다가정밀 측정을 해야 합니다덤으로 눈도 점검을 해서 고도 근시에 잘 생기는 눈 질환이 있는지확인도 해야 하구요측정치가 나오면 안경점을 찾아 가세요그리고 안경을 두 개 맞춰야 합니다.다초점 렌즈의 상술에 유혹 당하지 마세요 -_-; 고도 근시에요~한 개는 측정치 그대로 = 원거리용 = 운전 / 일상 생활용한 개는 근시의 (-) 값이 줄어든 =중~근거리용 = 모니터 핸드폰 독서 공부용(저는 60-70cm거리에서 촛점이 딱 맞는 걸로 했어요 개인 차 있어요일하기 가장 편한 거리를 줄자로 측정하세요)가지고 다니면서 상황에 맞춰 바꿔 끼세요 안경집은 한 개만 있어도 되요이해가 되셨나요? ^_^당신의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 ^_^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병원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25년차 병리과 전문의 장우영 의사입니다.병원 등급은 일반적으로 병상수를 기준으로 분류하게 됩니다.이는 의료법에 기준하여 의료체계와 관련이 있는 부분인데요.크게 의원·병원·종합병원·상급종합병원으로 분류합니다.이렇게 분류하는 이유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병원 운영과질 높은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병원 등급별 구분 ]집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어 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병원입니다.의원, 한의원, 치과병상 수 30개 미만외래/단기 입원 환자 위주의 진료가 진행가벼운 질환이나 치료의 난도가 높지 않은 일상적인 질병에 대한 진료종합병원입니다.병상수 100개 이상반드시 침대용 엘리베이터가 설치외래/입원 환자 진료필수 진료과목과 해당 진료과목을 전속하는 전문의가 있어야 합니다.병상수 100개~300개 이하 : 1.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중 3개 진료과목 2.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를 포함한 총 7개 이상의 진료과목병상수 300개 초과 :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병리과 또는 진단검사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과목대학병원이 해당되며 상급종합병원입니다.위급한 환자나 치료 난도가 높은 중증 질환 환자에 대한 치료병상수 500개 이상과 모든 진료과목과 전문의를 두어야 합니다.다른 1차, 2차 병원과는 달리 3년에 한 번씩 종합 평가를 거쳐우수 종합 병원을 선정해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하고 있으며의료법에 의거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게 되어있습니다.이해가 되셨나요? ^_^당신의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 ^_^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당뇨인데 사과즙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25년차 병리과 전문의 장우영 의사입니다.당뇨 환자에게 과당의 급격한 섭취는 금기 사항입니다혈당이 갑자기 쭈욱~ 올라가서 몸이 정신을 못 차리거든요못 느끼시는 분도 있지만 민감한 분들은 혈당 변화가 심하게 오면몸이 불편해요그것보다 더 중요한 건 고혈당으로 몸이 망가진다는 거죠 (특히 혈관 ㅠㅠ)과즙음료 설탕음료 다 금기 사항입니다나 과일 없으면 못살아 하시는 분이 많거든요(제 지인 중 한 분이 당뇨병인데 그렇습니다 ^^;)간식으로 과즙 말고 과일을 깎아서 1/4개 정도만 드세요당뇨는 죽을 때 까지 절제하고 다스리면서 가야 하는 병입니다완치는 없어요 이거 먹으면 낫는다는 광고나 체험담에 속지 마세요 -_-;당신의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 ^_^
내과
내과 이미지
Q.  만보걷기운동의 의학적근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25년차 병리과 전문의 장우영 의사입니다.걷기는 가장 돈이 들지 않고 가장 몸에 부담을 적게 주며 부상의 위험성이 낮은 운동입니다만보를 걸을려면 최소한 3시간 정도는 걸어야 하는데요매일 매일 만보 걷기는 사길 쉽지가 않겠죠? ^^;걷기를 하게 되면 심폐기능이 튼튼해지고 근육의 지구력이 올라가게 됩니다그래서 꼭 만보를 채울 필요는 없지만 하루에 30-40분 정도 걷는 것은강력 추천 사항입니다.나이에 맞게 속도 조절 하면서 무리하지 않게 걷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당신의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 ^_^
내과
내과 이미지
Q.  독감인것같은데 지금이라도.검사받아야할까요?
안녕하세요. 25년차 병리과 전문의 장우영 의사입니다.약을 그 정도로 먹었는데 듣지 않는다는 건 많이 심한 상황입니다.독감 내지는 코비드19(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의심되는데요폐렴 초기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종합병원 응급실로 가세요만약 진료가 빨리 된다면 호흡기 내과를 보면 되는데환자분 상태가 심상치가 않아서 걱정이 됩니다 -_-;쾌유를 빌겠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시술한 심장 스텐트는 언제 다시 검사하나요?
안녕하세요. 25년차 병리과 전문의 장우영 의사입니다.심장 스텐트는 혈관의 협착을 넓혀주는 장치로, 한번 삽입하면 영구적으로 사용합니다.스텐트의 수명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보통 5년에 85% 정도의 혈류 개통률을 보인다고 합니다스텐트 유지를 위한 약 복용은 필수 사항이고요주치의 선생님이 각종 검사 결과를 보고 확인 할 필요가 있다면정밀 진단을 하자고 하실 겁니다 (예를 든다면 심장CT)그러니 걱정 마세요 ^^건강하신 삶을 기원합니다 ^_^
내과
내과 이미지
Q.  수술 후 배액 양상이 bloody-clear
안녕하세요. 25년차 병리과 전문의 장우영 의사입니다.수술 후 초기에 bloody-clear는 당연한 겁니다 ^^;칼로 자른 부분이 아직 완전히 붙지를 않아서 경미한 출혈이 생길 수 있거든요수술한 지 일주일이 지나서 완전히 붙었을 건데 출혈이 보인다면 문제가 되겠지만요 -_-;bloody 보다는 clear가 더 중요한 단어입니다감염도 없고 사고가 날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는 거거든요 ^^피가 줄줄 새는데 의료진이 기록만 하고 그냥 방치했다고요? ^^;그런 일은 있을 수가 없겠죠 면허 박탈에 형사 처벌인데 ^^;결론 : 혼자만의 상상에 빠지지 마시고 의료진을 믿어주세요 궁금하면 의료진에게 혼자 꿍꿍 앓지 말고 질문해 주세요 쾌유를 빌겠습니다 ^_^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요즘 투잡띈다고 하루 4-2 시간 이렇게 자면서 몸쓰는일하는데 스트레스 예민?!
안녕하세요. 25년차 병리과 전문의 장우영 의사입니다.녜, 충분히 그러고도 남을 상황입니다. -_-;;;평균 수면 시간이 3시간 이라면 몸이 못 견딥니다홍길동의 후예인 우리나라 사람들은 성질이 급하고 각성제(카페인)를 사랑하며몸을 사리지 않고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데요이렇게 삶을 살아가는 경우 수면은 무엇 보다 중요하게 됩니다자면서 간은 몸에서 생긴 피로 물질을 해독하고뇌는 생각하는 과정에서 생긴 각종 쓰레기 물질을 임파선을 통해서 배출합니다잠을 적게 자면 이런 일을 할 시간이 없는 거지요피로 물질 쓰레기 물질이 점점 몸속에 차오르니눈은 충혈되거나 흰자위가 노랗게 되고(간이 살려 달라는 위험 신호 입니다 -_-;)입술은 마르고 갈라지고머리는 멍~ 해지고 생각이 잘 안 나고 판단/계산 능력이 떨어지고몸이 무겁고 생각대로 팔 다리가 움직여 지질 않아 스텝이 꼬이고 넘어지기도 하죠썰다가 손가락 다치기도 하고요 -_-;경제적 사정을 해결하기 위해서 노력 하시는 것을 말릴 수는 없지만잠은 최소한 6시간 정도는 자야 합니다완전 회복을 위한 추천 시간은 7-8 시간이고요열심히 사시는 당신의 삶을 응원합니다 ^_^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무릎 엑스레이 3일 2번 괜찮나요ㅠ
안녕하세요. 25년차 병리과 전문의 장우영 의사입니다.결론은 괜찮습니다 ^_^"방사선 피폭량의 허용기준" 이라는게 있는데일반인에 대한 선량한도는 전신에 대하여 연간 5 mSv(rem)입니다보통 엑스레이를 1회 촬영 시 0.05 mSv 정도의 방사선에 노출이 되거든요계산해 보면 1년에 100장 정도 찍는 것은 안전 하다는 이야기지요이해가 되셨나요? ^_^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제왕절개 후 혈종이 발생하였는데, 산후마사지 또는 온팩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25년차 병리과 전문의 장우영 의사입니다.8cm 크기라면 엄청 아프겠는데요 -_-;;;생긴 자리도 배 아래 쪽이라 적절한 처치가 곤란하고요 -_-;혈종은 상당히 긴 시간이 흘러야 없어진답니다 (한 달 이상...)일단 치료법은 RICE 인데요R(REST) : 3일 정도의 안정이 필요합니다 누워서 쉬는 거죠I(ICE) : 혈종이 생긴 뒤 2일 정도는 얼음을 수건에 싸서 20분 정도 찜질 하는 것을 하루 2-3번 해줍니다 3일째 부터는 혈종이 사라 질 때 까지 따뜻한 찜질을 자주 해주세요!!! 피가 흡수 되는 것을 도와줍니다 단, 너무 뜨겁게 하지 마세요!!! 50도 이상에 장시간 노출되면 저온 화상이 온답니다!!!C(COMPRESSION) : 붕대로 묶어서 압박해 주는 건데 배 쪽이라서 할 수가 없네요 -_-; E(ELEVATION) : 높이 들어 주는 건데 (배게로 받치는 방법 등등) 배 쪽이라서 할 수가 없네요 -_-; 결론 : 누워서 쉬시고 2일 동안은 냉찜질 3일째 부터 나을 때 까지는 온찜질 하세요 ^^쾌유를 기원합니다 ^_^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