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색의 이름에 대한 국제 표준화된 명칭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네, 색의 이름에 대한 국제 표준화된 명칭이 있습니다. 이를 위한 시스템이 바로 "Pantone Matching System"입니다. 이 시스템은 색을 숫자와 알파벳으로 표기하여 색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합니다.또한, 국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색의 이름 중 하나로는 "RGB"이 있습니다. 이는 색을 빨강, 녹색, 파랑의 색상값으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컴퓨터 모니터, TV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그 외에도 다양한 색의 이름 시스템이 있으며, 색을 구분하는 방법은 각 분야나 용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Q. 조선시대 조정과 지방의 예산과 조세 비율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세금제도는 세율과 분배 방식이 시기에 따라 변화가 있었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졌습니다.곡식세(禾稅)와 조세(調稅)를 중심으로 걷혔습니다.곡식세는 농민으로부터 곡식을 걷어내는 세금으로, 조세는 각 가구의 부, 전, 소를 기준으로 걷는 세금입니다.곡식세는 보통 농작물 수확 기간에 걷혔으며, 조세는 매년 경남(驗輦) 등의 검열을 통해 거짓 신고를 방지하고 세금을 징수했습니다.세율은 대체로 1년 생산물 중 1/10~1/15 정도를 걷었습니다.세율은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1년 생산물 중 1/10~1/15 정도를 걷었습니다.세금은 중앙 정부와 지방 행정기관 간에 분배되었습니다.중앙 정부와 지방 행정기관 간에는 세금 분배 비율이 있었으며, 지방 행정기관은 거주민의 생활 보호를 위해 지방세를 걷어내기도 했습니다.세금은 금전 뿐만 아니라 곡식, 육류, 토산물 등의 형태로 걷혔습니다.곡식세와 같이 농작물을 징수하거나, 불교사 등에서는 부처님 제사에 사용할 제물(육류, 과일 등)을 징수하기도 했습니다.한편, 조선시대의 1년 예산 규모는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200만~500만 덩(燈) 정도로 추산됩니다.
Q. 오페르트는 왜 남연군의 묘를 도굴했나요?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오페르트(Albert von Oppenheim)는 독일의 상인이자 고고학자였습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오페르트는 독일의 군사 작전과 연관되어 중동 지역에서의 첩보활동을 수행하게 되었습니다.그리고 1915년에는 현재의 이라크 지역에서 발견된 고대 도시 바빌론(Babylon)에 위치한 왕족 묘지를 발견하게 됩니다. 이곳에는 바빌론 제2왕조의 제왕들과 그 가족들이 묻혀 있었으며, 이들의 무덤 안에는 막대한 양의 금, 은, 보석 등이 함께 묻혀져 있었습니다.하지만 오페르트는 이 보물들을 군사 작전 자금 조달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고자 했고, 그래서 남연군의 묘지를 도굴하였습니다. 그 결과, 막대한 양의 보물이 탈취되었으나, 이 사실은 나중에 오페르트의 첩보활동이 드러나면서 대중들의 비난과 심한 국제적 문제를 초래하게 됩니다.
Q. 화이트데이는 왜 생겼으며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화이트데이는 일본에서 발생한 기념일로, 발렌타인데이 이후 3월 14일에 남성들이 여성들에게 선물을 주는 날입니다. 이 기념일의 유래는 1977년 일본 캔디 제조회사인 낫토모가 화이트데이를 처음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당시 일본에서는 발렌타인데이에 여성들이 남성들에게 초콜릿을 선물하며, 남성들은 그 선물에 대한 대가로 화이트데이에 여성들에게 선물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화이트데이는 처음에는 캔디와 초콜릿 등의 간식을 선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현재는 보석, 화장품, 의류, 악세서리 등 다양한 선물이 판매되며, 일본 이외에도 한국, 중국 등에서도 인기 있는 기념일 중 하나입니다.
Q. 프로이드가 말한 자아, 초자아, 원초아는 어떤차이점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프로이드는 인간의 심리를 다루며, 자아, 초자아, 원초아 개념을 제시했습니다.자아(Ego)는 현실 세계에서 인식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과 자아 정체성을 의미합니다. 자아는 인간의 인지와 판단, 현실적인 대처 능력 등을 담당합니다.초자아(Superego)는 양심을 비롯한 도덕적인 가치관이 담긴 부분으로, 우리가 사회적으로 습득한 가치관, 도덕적인 규범, 윤리 등을 표현합니다.원초아(Id)는 생명력과 본능, 충동 등을 담당하며, 성욕이나 굶주림 등의 본능적인 욕구가 이에 해당됩니다.이 세 가지 개념은 인간의 심리 구조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각각의 성격과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 개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의 행동, 인지, 욕구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정신 분석 이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Q. 퇴계이황의 이기호발론과 율곡 이이의 기발이승론은 모두 성리학에 기초한 주장들인데 어떤점이 차이가 있는 이론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퇴계이황(退溪李滉, 1337년 ~ 1408년)과 율곡 이이(李瀷, 1536년 ~ 1584년)는 모두 성리학(성리사상)의 대표적인 인물로 국내철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두 인물의 성리학 관련 이론에서 차이점이 존재합니다.먼저, 퇴계이황의 이기호발론은 이치(理致)와 기(氣)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시작합니다. 그는 성리학의 근본 원리인 이치와 기가 중요한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이치와 기의 불균형이 발생하면 인간의 정신과 육체적 기능에 문제가 생긴다고 주장합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사물의 기를 따르고 이치를 실현시키는 것이라는 것입니다.반면에 율곡 이이의 기발이승론은 퇴계이황의 이기호발론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율곡 이이는 이치와 기를 하나의 존재로 보고,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그것의 변화와 운동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변화와 운동의 원리를 "기(氣)의 원리"라고 불렀습니다. 이에 대해 율곡 이이는 이치와 기를 통합하여 "이기(理氣)"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며, 인간이 세상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방식은 이기(理氣)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합니다.이처럼 퇴계이황과 율곡 이이는 성리학이라는 공통된 이론을 바탕으로 하지만, 그들의 이치와 기에 대한 이해와 설명 방식, 그리고 세계관의 차이 등에서 차이가 존재합니다.
Q. 야수에 심장 어원 및 언제 부터 이런 말이 쓰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야수에 심장"은 영어에서 온 표현으로, 어원은 정확히 알려진 것은 없지만, 야생 동물이나 인간을 상대로 싸우는 동물들이 격렬하게 움직이다 보면 심장이 뛰는 것이 눈에 띄기 때문에, 그렇게 불리게 된 것으로 추정됩니다.이 표현이 처음 사용된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영어권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왔습니다. 이 표현이 한국에서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지만, 최근 몇십 년간 꾸준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Q. 발렌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는 연관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발렌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는 서로 다른 의미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일부 연관성이 있습니다.발렌타인데이는 2월 14일에 기념하는 남녀간의 사랑과 애정을 나타내는 행사입니다. 이 행사에서는 대개 여성이 남성에게 카드, 초콜릿, 꽃 등의 선물을 주고, 사랑을 표현합니다.한편, 화이트데이는 3월 14일에 기념하는 행사로, 발렌타인데이에 선물을 받은 남성들이 여성들에게 대가를 돌려주는 것입니다. 이 때 대개는 마찬가지로 초콜릿, 캔디, 꽃 등을 선물합니다.따라서 두 행사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발렌타인데이에 받은 선물에 대한 대가로 화이트데이에 선물을 주는 관례가 있어 일부 연관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