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eogus815
eogus815

조선시대 조정과 지방의 예산과 조세 비율

조선시대 세금 비율과 걷은 세금을 지방과 조정에서 각각 어느 비율로 나눠 갖는지 대략적인 비율과(곡식한정) 1년 예산 규모가 어느정도 일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답변왕
      답변왕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세금제도는 세율과 분배 방식이 시기에 따라 변화가 있었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졌습니다.

      1. 곡식세(禾稅)와 조세(調稅)를 중심으로 걷혔습니다.

      • 곡식세는 농민으로부터 곡식을 걷어내는 세금으로, 조세는 각 가구의 부, 전, 소를 기준으로 걷는 세금입니다.

      • 곡식세는 보통 농작물 수확 기간에 걷혔으며, 조세는 매년 경남(驗輦) 등의 검열을 통해 거짓 신고를 방지하고 세금을 징수했습니다.

      1. 세율은 대체로 1년 생산물 중 1/10~1/15 정도를 걷었습니다.

      • 세율은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1년 생산물 중 1/10~1/15 정도를 걷었습니다.

      1. 세금은 중앙 정부와 지방 행정기관 간에 분배되었습니다.

      • 중앙 정부와 지방 행정기관 간에는 세금 분배 비율이 있었으며, 지방 행정기관은 거주민의 생활 보호를 위해 지방세를 걷어내기도 했습니다.

      1. 세금은 금전 뿐만 아니라 곡식, 육류, 토산물 등의 형태로 걷혔습니다.

      • 곡식세와 같이 농작물을 징수하거나, 불교사 등에서는 부처님 제사에 사용할 제물(육류, 과일 등)을 징수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조선시대의 1년 예산 규모는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200만~500만 덩(燈) 정도로 추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