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슬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슬기 전문가입니다.
이슬기 전문가
마이크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29일 작성 됨
Q.
날씨가 추운데 구름 위로 비행기가 다니잖아요 거긴 안 춥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blazer 입니다.퇴역한 콩코드 항공기를 제외하면 (콩코드 여객기는 성층권을 이용) 대부분의 항공기는 대류권을 이용합니다.대류권은 지상에서 10km 상공까지의 범위를 지정하고 있으며, 대류권까지 100m 올라갈수록 온도는 0.65도씩 떨어집니다.따라서 항공기가 다니는 대류권과 성층권이 -50도 이하인 점을 감안한다면비행기가 다니는 구간은 매우 춥다고 할 수 있습니다.참고사이트 : https://www.worldkorean.net/news/articleView.html?idxno=39598(WorldKorean - 항공기는 얼마나 높이 날아갈 수 있을까?)
화학
2022년 12월 29일 작성 됨
Q.
사계절중 겨울에 유난히 정전기가 강하게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blazer 입니다.정전기는 공기중의 습도가 낮아서 수분이 부족해지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우리나라의 경우는 겨울철에 시베리아의 북서계절풍 고기압으로부터 차갑고 건조한 영향을 받아서정전기가 다른 계절에 비해 더 많이 발생합니다.참고사이트 :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2&key=201611291049434946(YTN사이언스 - 얕보면 큰일…겨울철 불청객 '정전기' 방지법은?)
물리
2022년 12월 29일 작성 됨
Q.
예전 외국영화에서 성냥을 벽에 긁으면 불이 붙는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blazer 입니다.벽에 유황과 인을 미리 발라둔 후에 성냥을 벽에 긁으면 불이 붙는 원리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29일 작성 됨
Q.
왜 지구에서 특정 국가가 있는 나라에서만 지진이 많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blazer 입니다.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국가들은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한 환태평양 조산대 (흔히 말하는 불의고리) 지역에 있기 때문입니다.참고사이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4/0000001410?sid=105(동아사이언스 - 인도네시아 롬복섬 강진...불의 고리는 영원한가요?)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1213&key=202212161513543440(YTN사이언스 - 불의 고리에서 지각 활동이 활발히 일어나는 이유)
물리
2022년 12월 28일 작성 됨
Q.
낙하산에는 어떠한 과학적 원리가 담겨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blazer 입니다.낙하산의 원리는 낙하산에 뚫린 구멍이 공기를 회전시켜서 위로 올라가는 공기가 낙하산의 구멍을 지나게하여더 천천히 내려가게 하거나 좌우로 회전시켜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원리입니다.참고사이트 :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69048.html?_ga=2.242330186.914455282.1672208569-2001437479.1672208569 (한계레 신문 - Kisti의 과학향기 (날 수 없는 배트맨의 슬픔))
전기·전자
2022년 12월 28일 작성 됨
Q.
반도체 메모리칩 D램과 낸드플래시의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blazer 입니다.D램은 휘발성 메모리여서 전원이 공급되어야만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반면에 플래시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여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제조방법 및 공정과정은 아래의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참고사이트https://www.samsungfundblog.com/archives/45614 (삼성자산운용 - 헷갈리는 반도체 종류 완벽정리!)https://news.skhynix.co.kr/post/dram-and-nand-flash (SK하이닉스 - 디램(DRAM)과 낸드플래시(NAND Flash)의 차이)https://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909N105 (과학동아 - 반도체 제조 8대 공정)
생물·생명
2022년 12월 28일 작성 됨
Q.
물안경을 쓰면 물속에서 사물이 크게 보이는 이유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blazer 입니다.물안경은 물 속에서 물이 눈과 직접 접촉하였을 때 발생하는 빛의 굴절 현상으로 사물이 크게 보이게 됩니다.빛의 굴절 현상은 빛이 서로 다른 물질의 경계면에서 진행 방향이 꺾이는 현상이며 아래의 참고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참고사이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43/0000007685?sid=103 (쿠키뉴스 - 수영이 몸 균형발달에 효과있다)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060425/8299572/1 (동아일보 - [理知논술/중학 교과원리]수학-과학)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28일 작성 됨
Q.
지구에는 원래 물이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blazer 입니다.지구의 물 생성과 관련해서는 현재 여러가지 가설이 있지만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가설은지구가 생성되었을 당시에는 태양계 내부가 너무 뜨거워 물이 응축하지 못해, 지구에 물이 없었다는 것입니다.그리고 지구에 물이 유입되었다는 가설로는 초기 태양계에서 얼음이 형성될 수 있었던 지역의 경계인 현재의 소행성대에 위치한‘서리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소행성이나 혜성의 지구 충돌 등으로 물이 나중에 지구에 만들어진 것으로 분석합니다.이를 뒷받침하는 예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체에서 기원한것으로 분석된 운석에서 지구의 물 구성과 유사한수소 동위원소 비율이 확인되었으며 이 운석의 12%가 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현재로서는 이 가설이 가장 설득력 있습니다.참고사이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4/0000021216?sid=105(동아사이언스 - 우주에서 온 운석의 비밀..."소행성이 지구 물 기원")
생물·생명
2022년 12월 28일 작성 됨
Q.
겨울철에 유독 불면증이 심해지는 이유.. 과학적으로 설명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blazer 입니다.겨울철에 불면증이 더 심해지는 이유는 겨울철이 춥고 건조한 시점에서 실내 난방까지 겹쳐져코호흡보다 구강호흡을 많이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이 구강호흡의 경우 입을 마르게 하며, 산소포화도를 (혈중 산소 농도를) 낮추어 잠에서 자주 깨는 수면분열을 일으켜 불면증으로 악화 또는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수면장애를 일으킨다고 합니다.참고사이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63195?sid=103(매일경제 - 70만명이 침대 위에서 ‘몸부림’…겨울밤이 더 괴로운 불면증)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27일 작성 됨
Q.
큰 얼음 우박을 뜻하는 '메가크라이오미티어'는 실제로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 Trailblazer 입니다.Megacryometeor는 엄청나게 큰 냉동상태의 운석을 뜻합니다.Mega (엄청나게 큰)Cryo (냉동상태)Meteor (운석)실제로 국내외에서 떨어진 사례들을 나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1989년 경기도 평택2004년 스페인 툴레도2007년 미국 아이오와주2014년 영국 카디프이외에도 수십건 이상의 사례가 있다고 합니다.참고사이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710322?sid=104 (연합뉴스 - 마른하늘에서 대형 얼음 덩어리 떨어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465028?sid=105 (서울신문 - 마른하늘에 날벼락? 희귀 ‘얼음 운석’ 떨어져)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03311117141110(뉴스엔 - 메가 크라이오미티어 ‘하늘에서 떨어진 얼음’ 인류 자초한 재앙)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