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3.11.19

고려의 현종은 어떻게 왕까지 오르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목종 다음의 왕이 현종으로 목종의 아들이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종은 형제도 아니고 친척이라고 알고 있는데 현종은 어떻게 왕까지 오르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종은 거란 성종의 침입에 참패하였으나 끝내 친조를 하지 않고, 6성 요구도 거절하였습니다. 다시 거란의 장군 소배압이 침입하자, 강감찬장군이 이를 섬멸하여 물리쳤습니다. 이후 거란과의 우호관계를 회복하고 기민(飢民) 구제에 힘썼으며 불교와 유교의 발전을 도모하였다고 합니다. 대장경의 제작에도 착수, 6천 권의 대부분을 완성하게 하였다고 합니다.

    1006년(목종 9) 삼각산 신혈사로 옮겨졌으며, 1009년 서북면도순검사 강조의 옹립으로 왕위에 올랐다고 합니다. 그해 강조가 목종을 살해한 데 대하여 문책한다는 구실로 거란의 성종이 군사 40만을 거느리고 쳐들어오자, 강조로 하여금 이를 방어하게 하였으나 참패하고, 다음해 개경이 함락되어 남으로 피난하였습니다. 이어 왕이 친조할 것을 조건으로 화의가 성립되어 거란군은 물러갔으나 끝내 친조를 하지 않았고, 또 6성을 요구해 온 것도 거절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출신은 문제가 있었으나 태조 왕건의 손자라는 점에서 정통성은 가지고 있었고 천추태후의 핍박 속에서 어렵게 살아남아 왕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목종이 재위 기간 자녀가 없자 사촌 동생 왕순(대량원군)을 후계로 삼고자 합니다. 그런데, 목종의 친모인 천추태후는 김치양과 사이에 난 아들을 왕으로 삼고자 하려 수차례 왕순을 독살하려다 실패합니다. 오히려 목종의 요청으로 출동한 강조가 정변으로 목종을 폐하고 왕으로 옹립됩니다.(1009)

    그러나 1010년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거란이 침입하여 강조는 사로잡히고, 현종은 나주까지 피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