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4.04.08

하수 처리장에 오염된 물을 맑은 물로 만드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문득 뉴스에 하수 처리장 장면을 보게 되니까 이런 오수를

맑은 물로 만다는 것은 어떤 과학적 원리로 맑은 물을 만들 수 있는 건지 궁금해서 문의 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01. 하수유입

    가정에서 사용하고 버린 물은 하수관로를 통해 환경사업소로 유입됩니다.

    02. 침사지

    하수와 함께 온 흙, 모래 등 비중이 큰 물질은 침전시키고, 플라스틱병 등 물에 잘 뜨는 물질은 스크린을 통해 걸러내어 하수처리 시설물을 보호합니다.


    03. 유입펌프

    침사지 및 유입펌프의 수위를 조절하고 유입된 하수를 펌프를 이용하여 일정량을 최초침전지로 송수하기 위한 펌프시설입니다.


    04. 최초침전지

    유입된 하수는 1.5시간 체류하면서 침전성 고형물을 침전시킨 후 생물반응조에 보내집니다. 이 때 가라앉은 찌꺼기는 수집기로 긁어모아 농축조로 보냅니다.


    05. 생물반응조

    최초침전지에서 유입된 하수는 미생물에 의해 하수 중 유기물질과 질소 및 인을 생물학적으로 제거하는 시설입니다.

    ※ 폭기 : 유기물질의 왕성한 분해를 위해 하수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는 것


    06. 최종침전지

    생물반응조에서 이동해온 혼합액이 약 2.5시간 체류됩니다. 이 과정에서 활성 슬러지는 침전되어 일부는 다시 생물반응조로 반송되고, 잉여오니는 농축기로 보내지며 깨끗한 상등수는 총인처리시설로 보내집니다.


    07. 총인처리시설

    최종침전지 유출수를 총인처리시설에서 응집제(염화제2철)을 주입하여 모래와 여과흡착과정으로 인(T-P)을 제거하는 시설입니다.


    08. 방류

    총인처리시설에서 인을 제거한 처리수는 법적 방류수 수질기준 이하로 처리되어 양재천으로 방류됩니다.

    출처 : 과천시분야별포털 - 하수처리과정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수처리장은 수많은 정화 과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화과정을 통해 필터되면서 물이 깨끗하게 소독 및 정화되는 것 이죠.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수처리장은 많은과정을 거쳐서 정수를 하는데 필터로 이물질을 여러차례 거른후에 화학물질을 넣어서 마실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오염된 물에 있는 물질을 필터링하거나 침전시켜 떼어내고 미생물이나 다른 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제거합니다.

    그리고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중화시킨 후 마지막으로 여과를 통해 물을 정화하고 소독하여 깨끗한 물로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수에 포함된 고형 물질을 침전시켜 분리합니다. 침전지나 침전조에서 하수를 흘리면 고형 물질이 침전하여 하수의 탁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침전 후 여과 과정을 거쳐 세부적인 물질을 제거합니다. 여과 과정에서는 여과매체를 사용하여 물을 여과하거나, 활성탄 등을 이용하여 물질을 흡착시킵니다.여과된 물에 살균제나 소독제를 첨가하여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의 병원성 물질을 제거하거나 불활성화시킵니다.일부 하수 처리 시설에서는 생물학적 처리 과정을 추가로 수행합니다. 이는 미생물이나 식물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과정입니다.마지막 단계에서는 추가적인 여과 과정을 거쳐 미세한 물질을 제거합니다. 역삼투 시스템을 사용하여 오염된 물에서 더 깨끗한 물을 분리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수 처리장은 크게 물리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화학적 처리 과정을 거쳐 오염된 물을 맑은 물로 만듭니다. 물리적 처리에서는 침전, 여과, 압력 공기 부상 등을 통해 물에 떠 있는 큰 입자와 무기물을 제거합니다. 생물학적 처리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고 질소와 인을 제거합니다. 마지막으로 화학적 처리에서는 소독, 침전, 여과 등을 통해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물을 맑게 만들어 자연으로 방류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수 처리장에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서 물을 정화 합니다.

    분리, 정제, 침전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수처리 혹은 오수처리 공정에 대해 질문주셨는데요.

    우선 생활폐수가 섞여있고, 바닷물이 섞여있는 등 폐수의 종류에 따라 공정이 천차만별이라 대략적인 공정을 설명드립니다.


    하수처리 공정은 먼저 물을 청소하기 위해 물에 떠 있는 물질을 걸러내고, 물 속에 떠 있는 고체 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필터링 공정이 이루어집니다.


    그 후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고, 마지막으로 화학적 처리를 통해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화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처리된 물은 수질검사를 통해 적합하면 자연 환경으로 배출되는 방식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염된 물이 하수 처리 시설로 유입되면 침사지에서 필터를 통해 비닐과 종이류 등 큰 이물질을 걸러내고, 최초침전지에서 일정 시간 체류하면서 이물질들을 가라앉힙니다 . 이후 생물 반응조에서는 물에 공기를 불어 넣어 오염물질을 분해·제거하는 미생물을 활성화해 증식시켜 물을 정화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수에 뿌리는 염소성분 때문입니다.

    염소는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해서 이 물을 다시 필터로 걸러 상수도로 흘러보내는거죠.


    물에서 소독약 냄새가 나는게 이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