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빈티지한원숭이104
빈티지한원숭이104

조선시대에의 백정은 인간이하취급받았다던데 왜 그런지궁금합니다.

조선시대의 백정은 인간이하의 취급받았다던데 왜 그런지가 궁금합니다. 아시는 전문가님 계시면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백정은 주로 도축업에 종사하던 천민 계층을 일컫는 말로 도축업은 당시 천시되던 직업이었기 때문입니다.

      소나 돼지 등 가축을 도살하는 것은 불결한 일로 여겨졌으며, 이로 인해 백정은 사회적으로 차별 대우를 받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정은 대부분 북방 유목민족 출신의 이민자들이었는데

      농경국가인 조선의 문화에 적응을 하지 않고

      마치 현대의 조선족들 처럼 자기들 문화에 따라서 예절도 법도 어기면서 살았습니다

      아예 조선말을 배우지도 않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들이 하던 유목일을 하고 싶어 했지만

      산투성이 조선에서 몽골초원같은 유목을 할 수 있을리가 없었기 때문에

      소규모 목장에 더해서 도축일도 해서 먹고살았습니다

      이것이 계급제 시대에 맞게 정착되서 생겨난 천민계층이 바로 백정입니다

      계급이 정착된 이후에는 유목민 출신이 아니거나 돈을 많이 벌어도

      도축하면 천민이 되는거죠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정은 과거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져온 계급으로 주로 가축을 도축하거나 가죽을 다루는 일을 업으로 삼았습니다. 이들은 일반 평민보다 낮은 대우를 받았으며, 노비보다는 높지만 기생, 승려, 광대 등과 함께 팔천으로 불리며 천대받는 신분이었습니다. 차별의 원인으로는 종교적 요인이 원인입니다. 불교에서는 살생을 금하기 때문에 도축을 하는 백정이 부정한 직업으로 간주되었다는 것입니다. 또다른 원인으로는 전쟁이나 난민으로 인해 한반도에 유입된 유목민족들이 백정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백정은 외부인이자이질적인 존재로 인식되어 사회적으로 격리되고 천대받게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