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상승기류
상승기류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으면 뽀글뽀글 끓는것 처럼 보이는데 왜 그런가요

물속에 남은 드라이아이스를 넣어봤는데 물이 끓는것처럼 뽀글뽀글 흰 거품이 계속 끓더라구요...나오는 흰연기는 인체에 무해한 것인지 무슨 성분인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Panda
      Panda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었을 때 거품이 발생하는 이유는 드라이아이스 표면으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드라이아이스가 녹으면 액화가 되는 것이 아닌 기화가 되는 형태인데 물이 아닌 이산화탄소가 고체화된 형태가 드라이아이스입니다. 드라이 아이스와 물이 닿으면 물이 끓는 것이 아닌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뽀글뽀글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를 고체화 한것으로 영하 78.5도에서 고체가 됩니다. 그래서 고압으로 해서 드라이아이스를 만듭니다. 그래서 상온에 드라이아이스를 냅두면 드라이아이스가 기화되면서 이산화탄소가 주위에 생기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으면 물도 온도가 높기때문에 물에 온도에 의해서 드라이아이스가 기화되면서 이산화탄소가 생기고 그 이산화탄소가 물속에서 발생되면서 밖으로 나오면서 끓는것 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얼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얼음과 다르게 물로 변하는 것이 아닌 녹으면 기체로 변합니다. 밀폐공간이 아니면 인체에 무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과학분야 답변자 배병제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의 고체 형태로, 물에 들어가면 고체상태의 이산화탄소가 기체상태로 전환되는 반응이 급격하게 일어나고 이에 따라 기포가 발생하게 됩니다. 흰 연기는 아주 차가운 이산화탄소때문에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보이는 반응이므로 물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고체 상태에서 액체로 직접 변화하지 않고, 고체에서 기체로 바로 변화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산화탄소는 일반적인 기체와는 달리, 상온에서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고체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으면 이산화탄소가 기체로 변화하여 뽀글뽀글 끓는 것처럼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문광록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를 물 안에 넣게 될 시 고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승화작용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며, 이산화탄소 기체가 충분히 모여 수압을 넘으면 물표면으로 올라와 끓는것처럼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의 고체 상태입니다.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으면 이산화탄소가 기체 상태로 빠르게 승화하기 때문에 뽀글뽀글 끓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때 나오는 연기는 이산화탄소로 몸에는 무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