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조신한벌90
조신한벌90

아파트 2채로 인한 세금 및 최선의 방법을 알려주세요.

조합원 아파트(이하 ㄱ아파트)

청약 아파트(이하 ㄴ아파트)

[ㄱ아파트]: 59m2

  • 대구 서구 소재

  • 10년 전에 지주택으로 조합원에 가입

  • 2021년 6월 조합원 자격으로 공급계약서 작성

  • 2025년 8월 입주 예정

  • 공급 총액: 371,778,000원

  • 옵션: 5,890,000원(시스템에어컨)

[ㄴ아파트]: 84m2

  • 대구 달서구 소재

  • 주택청약으로 2020년 8월 공급계약서 작성

  • 배우자와 공동명의

  • 2023년 12월 4일 입주, 2024년 3월 소유권 이전등기 완료

  • 분양 대금 총액: 611,050,000원(분양가 599,500,000원+발코니 확장 11,550,000원)

  • 옵션: 6,000,000원(시스템에어컨)

  • 대출: 특례보금자리 399,000,000원(잔여원금 398,683,000원)

  • 자녀가 2명(만 4세, 1세), 배우자와 저는 둘다 만 34세이며, 소득이 9천만원(배우자 5천만원)입니다.

  • ㄴ아파트를 특례보금자리로 대출받아서 ㄱ아파트를 3년 이내(2026년 12월까지) 처분해야 합니다.

  • 당초 ㄱ아파트를 동생에게 양도하려고 했으나 계획이 무산되면서 제가 두 아파트를 떠안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 ㄱ아파트를 등기 후 매도하려고 했으나 지금 상황에서는 양도세가 많이 나오는 것 같더라구요.

  • ㄴ아파트를 매도하고 ㄱ아파트에 입주해야 한다면 ㄱ아파트 잔금을 치르기 위해 ㄴ아파트 매도비가 필요합니다. 만일 ㄴ아파트 매도일에 ㄱ아파트에 바로 잔금을 치르고 이사하려면 시간에 여유가 필요해 이사에 지연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두 아파트 간 입지는 크게 상관이 없고, ㄱ아파트가 59m2다보니 좁아질 수는 있겠지만 가야한다면 감수할 수 있습니다.

  • 위에 제가 말씀드린 내용이 정확한 지는 모르겠으나 잘못 알고 있다면 알려주세요.

  • 그리고 이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꼭 매도해야할 사항이 아니라면 2주택으로 길게 끌고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구 지역은 현재 아파트 공급이 많아 가격 상승이 보이지 않고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좋아지리라 생각합니다.

    2주택 모두 입지가 괜찮다면 ㄱ아파트 입주 시점에 전세를 주고 나머지 대출받아 끌고 가시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