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일본보다 우리나라가 자연방사능이 높다는데 사실인가?

당연히 일본의 평균적인 자연적 방사능 수치가 높을것같은데 우리나라의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가 높다고 들었다

이게 사실인지 궁금하고 사실이라면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실입니다. 한국의 자연 방사능 수준은 일본보다 약간 높습니다. 한국의 연평균 자연 방사능 피폭량은 약 2.4 mSv인 반면, 일본의 연평균 자연 방사능 피폭량은 약 2.2 mSv입니다.

      한국의 자연 방사능 수준이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토의 지질적 특성: 한국은 화산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으로, 화산암과 퇴적암에 방사성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지형적 특성: 한국은 산악 지형이 많아, 대기 중의 방사성 물질이 잘 확산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마도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의 종류에 따른 차이인 것 같습니다. 암석별로 우라늄과 라돈의 함량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화강암과 변성암은 화산암이 많은 일본에 비해 우라늄은 약 10배, 라돈은 2~3배 더 많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자연방사능의 차이를 만드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본보다 우리나라가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가 높다는데, 이게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만약 사실이라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일본과 우리나라의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 차이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우리나라와 일본은 지리적인 위치와 지질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도 다를 수 있어요. 그래서 일본보다 우리나라가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가 높다는 주장이 있을 수 있어요.

      일본은 활동성이 높은 화산지대이기 때문에 지하에 있는 방사성 물질이 지표면으로 올라오는 경우가 많아요. 그리고 일본은 지진과 지열 활동이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지하에서 방사성 물질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어요. 그래서 일본에서는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가 조금 더 높을 수 있어요.

      우리나라는 일본에 비해 활동성이 낮은 화산지대이기 때문에 지하에서 방사성 물질이 지표면으로 올라오는 경우가 적어요. 그리고 우리나라는 지진과 지열 활동이 일어나는 빈도가 일본에 비해 적기 때문에 지하에서 방사성 물질이 발생하는 양도 적을 수 있어요.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일본보다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가 조금 더 낮을 수 있어요.

      하지만 이러한 차이는 매우 작은 차이이며, 우리나라와 일본의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아요. 따라서 일본보다 우리나라가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가 높다고 말하는 것은 조금 어려울 수 있어요.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는 지리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인간의 활동에 의해 증가할 수도 있어요. 우리나라의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가 조금 높다고 해서 우리나라의 환경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에요. 자연적인 방사능 수치는 매우 작은 차이이며, 우리나라는 방사능 수치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어서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어요.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