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세계 경제와 화폐 발행의 레버리지 효과란?

코로나19로 인한 반등이 나타난 2021~2022년을 제외하고 2008년 이래 글로벌 수출입은 거의 성장이 없이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다고 합니다.

아래 글에서

“세계 경제가 커지는 것처럼 보인 것은 금융경제에서 화폐 발행의 레버리지 효과와 부채의 과도한 증가 때문이었다.”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요?

<이런 무역거래 현황을 보면 한국 경제는 물론이고 세계 경제의 둔화세가 뚜렷하다. 실물 경제는 이미 10여년 전부터 성장이 멈추었다. 그나마 아직도 세계 경제가 커지는 것처럼 보인 것은 금융경제에서 화폐 발행의 레버리지 효과와 부채의 과도한 증가 때문이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진솔 관세사
      최진솔 관세사
      한양대학교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세계 경제가 커지는 것처럼 보인 것은 금융경제에서 화폐 발행의 레버리지 효과와 부채의 과도한 증가 때문이었다.”

      는 것의 뜻은 세계적으로 실물경제는 발전하지 않았지만 화폐발행으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금융시장이 거대해졌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현재의 금융시장의 성장은 화폐발행으로 인한 것이며, 이러한 배경에는 레버리지를 이용한 투자 및 부채를 이용한 투자가 상당부분을 이루고 있고 이는 화폐의 총량이 많아지면서 금리인하 및 이자비용이 낮아져서 그런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레버리지 및 부채발행의 접근성 상승)따라서, 이러한 문장의 숨겨진 뜻은 현재의 금융시장이 버블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적정한 조정은 필수적이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해당 문구를 역으로 생각해본다면 금융 경제라는 시장 속에서 화폐의 발행과 부채의 증가가 곧 세계의 경제 체제를 커지게 하는데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화폐의 레버리지 효과는 우선 금융 시장에서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의 전략을 취함으로서 자신의 화폐 이상의 대출을 받아서 폭발적인 수익을 취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신용을 담보로 하기에 더 많은 손실을 취할 수도 있으며 많은 리스크를 감당하고 적은 화폐로 더 많은 투자를 추진하고 수익률 또한 높아지는 장점이 있으며 반대로 금융 시장이 안 좋아지는 경우 더 많은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부채의 과도한 증가는 이러한 레버리지의 활용으로 대출을 많이 받게 되어 부채가 늘어나게 되는 것으로 부채가 늘어나다보면 상환 리스크가 커지고 개인 또는 국가적으로 재정적인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화폐의 레버리지가 증가하고 부채가 늘어날 수록 시장에 유통되는 현금 및 자본의 유동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에 그 자체가 시장의 투자 자금 등이 높아져 현금 흐름이나 자본 흐름이 커지기 때문에 경제 체제가 겉으로 보기엔 커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흐름이 중장기적으로 지속된다면 전 세계 경제의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금융 위기나 외환 위기가 발발 될 경우 경제 체제는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기에 유의해야 됩니다.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화폐 발행의 레버리지 효과란, 일정한 금액의 자본을 바탕으로 그 이상의 자금을 대출 등을 통해 조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잠재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금융위기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부채의 과도한 증가 역시 경제 활동을 위한 자금을 조성하는 것이지만, 적절한 부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재정 위기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