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보라보라
보라보라22.11.13

심하지는 않은데 잦은 어제럼증이 있어요

나이
46
성별
여성

기립성 현기증이 있어 평소 낮았다 일어날때 조심하는 편인데 최근들어 앉아있어도 심하지않지만 빙빙도는 것 같은 느낌이 자주 들어요. 주로 쇼파에 앉아서 휴대폰을 보거나 티비를 볼때. 버스를 타고 갈 때 생겨요. 첨엔 신경쓰이는 정도가 아니었는데 요즘은 자주 나타나서 신경이 많이 쓰여요. 어떻게 해야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4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갑자기 일어날 때 현기증 때문에 걱정이시군요.

    갑자기 일어나거나 오래 서있거나 할때 시야가 어두워지면서 현기증을 느끼는 경우는 기립성저혈압으로 인한 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실신도 올 수 있으며 실신까지 오지 않더라도 현기증을 느끼거나 속이 울렁거리며 시야가 어두워지는 경우 실신 전 증상을 겪으신 겁니다.

    실신하는 경우 실신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으나 넘어지면서 다치는것을 가장 조심해야 합니다. 전조증상이 느껴질 때 절대로 서서 버티려고 하지 마시고 그자리에 앉거나 누워서 외상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일어날 때 순차적으로 천천히 일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옆에 잡을 것이 있다면 잡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증상이 계속될 때는 순환기내과에 가셔서 진료를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되셨나요?

    질문자님의 적극적인 답변 추천, 좋아요 그리고 채택은 저희 답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도움이 되신 답변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더 좋은 답변이 순환되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어지러움증의 원인은 크게 소뇌의 문제인 중추성 혹은 전정기관이라 불리는 달팽이관에서 발생하는 말초성 현훈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중추성 병변은 주로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혈관 질환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젊은 나이대에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전정기관에 문제가 생기는 말초성 현훈은 주로 이석증이나 전정기관염, 메니에르 병등에 의해서 발생하며 이비인후과, 신경과 등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