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소극적인
소극적인

관세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수출은 얼마나 줄어들까요?

미국에서 상호관세를 일단 유예시켰는데요. 이번 상호관세가 실시된다면 우리나라의 총수출은 얼마나 감소하게 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목인 자동차에 대해서는 25%관세가 부과됩니다.

    정확한 수치를 확인하기는 힘들지만 자동차 수출에는 심각한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우리 정부는 협상의 최우선순위를 자동차 관세 면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 90일로 인하여 우선 상호관세 부과의 혼란은 소강상태이나 아직 보편관세 부과는 진행 되고 있으며 자동차와 자동차 부속품에 대한 부과는 진행 되고 있는 등 우리나라의 수출 주력 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 정책은 유지 되고 있습니다.

    근래 우리나라의 대미수출이 증가 추세 였던것으로 비교하면 상호관세가 부과 되면서 우리나라의 수출 품에 대한 가격 인상 등에 따라 작년과 같은 미국 수출의 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2025년 상호관세 정책이 한국 수출에 미칠 영향은 상당히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5년 4월 기준, 미국은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할 계획이었으나 90일간 유예를 발표했으며, 보편관세 10%는 여전히 적용 중입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은 2024년 약 1200억 달러(전체 수출의 20%)로, 자동차(347억 달러, 전체 자동차 수출의 49%), 철강, 반도체 등이 주요 품목입니다.

    상호관세 25%가 시행되면, 한국무역협회는 대미 수출이 15~20% 감소(180~240억 달러)할 것으로 추정하며, 전체 수출(2024년 6800억 달러)은 약 3~4% 감소(204~272억 달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은 관세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며, 현대자동차와 GM코리아의 대미 수출이 10~15%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KOTRA는 관세 충격이 중소기업(대미 수출 비중 30%)에 더 큰 타격을 줄 것으로 분석하며, 관세청 UNIPASS로 품목별 관세 영향을 점검할 것을 권고합니다.

    상호관세의 간접적 영향과 글로벌 무역 환경도 수출 감소에 영향을 미칩니다. 상호관세로 미국 내 소비자 물가가 1.3~2.3% 상승하면 수요 감소로 한국 상품의 시장 점유율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대미 관세 125%)과 EU(20%)의 보복 관세로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며, 한국의 대중국 수출과 대EU 수출도 각각 5%와 10% 감소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IMF는 한국의 2025년 성장률을 1%로 하향 조정하였으며, 관세전쟁이 수출 의존도(38.1%)가 높은 한국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에 따라 빠르게 무역협상합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