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최고로철저한크루아상
최고로철저한크루아상

저축형 ETF 모은다는 말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주식 ETF를 모은다는게 계속 매수를 하는거잖아요? 월이든 몇주든 근데 나스닥 ETF를 만약 넣는다면 그 시기에 하락장이라면 계속 떨어지고있는데 계속 모은다는말이 의미가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형 ETF는 결국 위험자산입니다. 이런 위험자산은 기본적으로 변동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변동성 리스크를 헷지하기 위해서 시간을 분산하는 형태로 매월 일정금액을 일정기간에 동일하게 매수하는 형태의 기법을 달러코스트에버리징이라고 불리우는 DCA형태의 적립식 매수라고 불리웁니다.

    이는 중간 중간 하락사이클이 발생하고 다만 장기적으로 우상향하기 때문에 이런 변동성 리스크를 줄이고자 한번에 특정 시점에 전량 매수하는게 아니라 항상 일정기간에 일정금액을 동일하게 매수하기 때문에 하락사이클에도 동일하게 적용 되므로 알아서 낮은 가격에 매입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것입니다. 다만 결국 장기적으로 우상향한다는 전제하에 이런 적립식 매수를 진행하는것이며 계속 동일하게 포트폴리오를 갖추며 모아가는 형태로 진행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상호 경제전문가입니다.

    목돈을 한번에 넣어서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적립식으로 매달 적금처럼 매매를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목돈을 한번에 투자할 경우에는 주식이 상승을 하면 수익이 나고 하락을 하면 손해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적립식으로 매수를 하게 될 경우는 상황이 달라집니다.

    주식시장이 장기간 하락을 했다가 상승을 해서 제자리로 돌아왔을 경우에도 수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목돈을 한번에 넣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하락장에서도 심리적인 타격이 적게 됩니다.

    적립식으로 투자할 경우 주식시장이 하락을 하게 되면 물건을 싸게 사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적립식 펀드는 하락을 했다가 상승을 하는 것이 수익률에서 더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저축형 ETF 모은다는 말의 원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모은다라는 것은 분할 매수 혹은 적립식으로

    꾸준하게 저축형 ETF를 매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S&P500 을 적립식으로 산지 5년 넘었습니다 지수 추종 ETF 단기 하락 신경쓰지 않고 장기적으로 모아가는거죠

    그래서 보통 은퇴자금을 투자하는게 좋습니다!

    지금 처럼 단기 하락하는건 그냥 매수찬스 정도로 생각하고 10년이상 투자 가능하다면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 하락장에서 에스앤피500이나 나스닥 같은 지수형 etf를 계속 모아나가야 된다는 말은 장기투자 관점에서 유효한 말입니다. 단기적으로는 하락장이 예외적으로 1년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결국 시계열을 10년 이상 넓혀 보면 지수형 etf 적립식 분할투자는 항상 높은 수익률을 거두었기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이 지수형 etf를 분할적립식으로 매수해 장기간 투자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