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어디고
어디고

인플레이션 연동체라는게 무엇인가요?

투자처를 물어보는 질문을 남겼는데 인플레이션연동체를 말씀 하시더라고요

인플레이션은 알겠는데 연동체라는게 무슨말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연동체(물가연동채권)는 채권의 원금이나 이자 지급액이 소비자물가지수(CPI)등 특정물가지표의 변동에 따라 조정되도록 설꼐된 채권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채권은 발행 시 정해진 이자율에 따라 정해진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 시에는 원금을 그대로 돌려주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경우 채권 실질 가치가 하락하는 위험이 있습니다. 반면 인플레이션 연동체는 물가 상승분에 따라 원금 또는 쿠폰이 재조정되어 실제 구매력의 하락을 방지하려는 목적을 가집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금 조정: 대표적인 물가연동채권은 원금을 물가변동률만큼 상승시킵니다. 예를 들어 CPI가 상승하면 원금이 그에 비례해 증가하고, 이 증가한 원금에 대해 이자를 지급하거나 만기 상환을 진행하기 때문에 실질 가치가 보존됩니다.

    이자 지급 방식: 이자율은 일정하게 설정되지만 그 기준이 되는 원금이 인플레이션에 따라 조정되므로, 인플레이션이 오를수록 이자의 절대 금액도 커질 수 있습니다.

    실질 가치 보존: 투자자는 인플레이션 위험을 회피할 수 있으며, 채권의 실질 가치를 유지할 수 있어 구매력 보호가 가능합니다.

    정리하자면, 인플레이션 연동체란 물가변동에 대응하여 채권의 실질 가치를 지키는 형태로 설꼐된 금융 상품으로, 인플레이션 상승 시에도 투자자의 실질 수익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연동채(Inflation-Linked Bond)는 물가상승률에 따라 원리금이나 이자가 조정되는 채권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따른 구매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채권의 원금이 물가상승률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물가가 3% 상승하면 원금이 3% 증가합니다.

    고정된 이자율은 유지되지만, 원금이 조정되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면 이자액도 늘어납니다.

    (예: 원금이 1000에서 1030으로 증가하면, 이자도 1030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실질 수익률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투자처로 인식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인플레이션 연동채는 '물가연동채권(TIP)'이라 불리는 채권인데, 물가가 상승하는 만큼 채권의 원금이 조정되는 구조로 물가는 조금씩이라도 오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방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존재하는 채권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연동체는 인플레이션에 따라 원금과 이자가 조정되는 채권인데요. 채권의 실질적인 가치를 보장하기위해 만들어 졌으며 물가 상승시 채권의 가치가 하락하는것은 예방합니다.

    인플레이션 연동체는 인플레이션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인기있지만 이도 전적으로 회피하지는 못하며 시장 위험, 신용 위험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연동채권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물가연동채권이란 기본적인 이자율이 다소 낮으나

    물가상승분만큼 이자를 추가 제공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헷지 상품인 물가연동채를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

    물가연동채권(TIPS)은 투자 원금에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뒤 그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인데요. 혹시 인플레이션이발생하더라도 채권의 실질가치를 보전해준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연동체는 연동체가 아닌 연동채 즉 물가 연동 채권을 말하는거 같습니다

    보통 물가연동 국고채권을 말하구요 원금 및 이자지급액이 소비자물가수준에 연동되는 국고채권으로 우리나라는 기획재경부 국고과에서 발행을 주관합니다

    그럼 올해 마무리 잘 하시길 바라고 새해에는 좋은 일만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샨 연동체는 인플레이션에 맞춰 수익률이 변동하는 투자 상품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2000년대 초반쯤에 전기료에 대하여 인플레이션 연동제를 하려고 했습니다 합의가 안 돼서 못 했던 건데요 그게 됐었다면 미리 전기세가 많이 오른 상태였을 겁니다 우리는 전기를 만드는 재료는 수입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수입 원가에 대해서 가격이 오르고 내리고에 따라서 전기료를 어느 정도 맞추는 것들을 예를 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