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올곧은고래9
올곧은고래9

미국 물가지수 PCE 예상치를 선회 이런 말이 나오는데 물가지수라는게 경제에 무슨 의미를 주는지 궁금합니다.

미국 상무부가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를 PCE를 전월 대비하여 3%가 상승했다. 이런 말이 나오는데 그러면 이 개인소비지출 PCE지수가 경제에 의미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이수치가 높으면 경제가 활성화 된거고 낮으면 경제가 둔화되었다 간단하게 보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CE라고 하는 것은 개인 소비지출 지수를 말하는 것인데, 이 지수가 높을수록 소비성향이 커지게 되면서 경제가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아요.다만 이러한 지수가 상승하게 될 경우 인플레이션율 또한 상승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서 경제가 둔화되었다고 보기는 힘들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PCE 지수가 경제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PCE 지수는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로 이 물가지수를 미국의 연방준비위원회가 더 참고하게 됩니다.

      즉, 물가는 금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CE와 같은 경우 개인소비지출로 일정 기간 개인이 물건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지출한 모든 비용을 합친 금액을 말합니다. 이 수치가 높다면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PCE나 CPI 등 물가 관련 지표가 높게 나오게 되면 그만큼 금리를 인상할 개연성이 커지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이 수치가 높으면 = 금리 인상 가능성 커짐, 낮으면 = 금리 인하 가능성 커짐 이렇게 단편적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pi나 pce와 같은 물가지수는 가계, 기업이 부담하는 비용과 영향이 있습니다, 물가지수가 높으면 소득대비 비용이 커서 소비가능 금액이 줄고 경기침체를 야기할 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