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 된 봉합 부위 재봉합 필요한가요 ?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일주일 전 1cm 가량의 상처를 꿰메고 처지를 받았는데 딱지와 드레싱 스펀지 같은게 살짝 엉켜 일주일 가량 붙어있던 걸 떼어냈습니다 아무래도 벌어진 채로 아물고 있는거 같은데 재봉합 필요한가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상처가 벌어져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일견해서 병변부위가 크지않고 염증은 상대적으로 심해보이지는 않아서
소독을 잘 하고 약 잘 드시면 무난하게 회복을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아무래도 흉터는 남을 수 밖에 없을텐데요...
담당선생님과 상의를 해보셔서 어떻게 하실지 정하시면 좋은 것 같습니다.
저라면 상처가 크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깔끔하게 정리해서 봉합을 다시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차호정 흉부외과 의사입니다.
사진으로는 정확한 상처의 정도를 알 수는 없으나 제가 보기에는 피부 아래쪽은 다 붙어 있는 것으로 보여 재봉합은 하지 않아도 될 거 같습니다. 피부는 약간 벌어진 채로 봉합되어 있는것 같아서 나중에 흉터는 좀 더 남을 수 있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피부층도 다 덮이면서 아물 것이라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
상처 부위가 벌어진 채로 아물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면, 이는 향후 흉터가 크게 남거나 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봉합 후 일주일 정도가 지나면 표피층은 상당 부분 회복되기 시작하지만, 상처 가장자리가 충분히 잘 맞물려 있지 않거나, 드레싱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았을 경우 상처가 벌어진 상태로 아물게 될 수 있어요.
특히 드레싱 스펀지나 딱지와 같은 이물질이 상처에 엉켜 있다가 일주일 가까이 지난 후에 떨어졌다면, 벌어진 틈으로 세균이 침투했을 가능성도 있으며, 이는 염증 반응이나 삼출물(진물), 통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재봉합이 필요한지는 상처의 깊이, 가장자리 조직의 상태, 감염 여부, 그리고 피부 회복 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봉합 후 일주일이 지난 시점에서는 이미 조직이 일부 아물기 시작했기 때문에 재봉합이 오히려 회복을 방해할 수 있으며, 재절개가 필요할 수도 있어 간단한 시술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대부분은 2차 치유(벌어진 채로 내부부터 서서히 아물도록 하는 방식)를 유도하면서, 상처 가장자리를 최대한 모아주는 테이핑(스테리 스트립 등)이나 습윤 드레싱으로 회복을 도울 수 있어요. 만약 상처가 벌어진 부위에서 붉은기, 부종, 열감, 고름 등이 나타난다면 이는 감염 징후일 수 있으므로 즉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현재 상태에서 자가 판단보다는 외과나 피부과를 방문해 직접 상처를 확인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상처의 벌어진 정도와 감염 여부, 주변 피부 상태를 바탕으로 재봉합 여부를 결정하고, 적절한 처치(소독, 드레싱, 필요 시 항생제 등)를 받으시면 될 듯 해요. 만약 감염은 없지만 흉터가 염려된다면, 이후 흉터 치료나 재건 치료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