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도가 같더라도 지역에 따라 어떤 지리적 환경 특징을 갖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같은 위도대에 위치하더라도 대륙의 서안 지역과 동안 지역은 지리적 환경적 특징이 많이 다를 텐데요 각각 어떤 특징과 기후를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같은 위도라도 대륙의 동안과 서안은 서로 다른 기후를 보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중위도 지방에서는 이런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납니다. 위도 30°~60° 지역은 대기 대순환의 편서풍대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특별한 방해가 없는 한 북반구에서는 남서쪽에 불어오는 편서풍의 영향을 받습니다. 유럽과 같이 대륙의 서안에 위치한 지역에서는 서쪽에 바다가 위치하므로 막힌 부분이 없어 1년 내내 편서풍의 영향을 받습니다. 편서풍은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불어가므로 연중 온도가 거의 일정합니다. 이런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 기후를 서안해양성 기후라고 합니다. 서안해양성 기후는 해양의 영향을 받으므로 동안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가 크지 않고 강수량도 편차가 크지 않습니다.
동안에 위치한 지역은 대륙에 의해 편서풍이 막혀 편서풍의 영향을 거의 받지 못합니다. 여름에는 서쪽에 위치한 대륙이 먼저 가열되므로 대륙에 저기압이 위치하여 해양에서 대륙쪽으로 동풍 계열의 바람이 붑니다. 겨울에는 대륙이 먼저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양에 저기압이 위치하므로 대륙에서 해양 쪽으로 서풍 계열의 바람이 붑니다. 여름에는 해양에서 바람이 불어오므로 강수량이 많지만, 겨울에는 대륙에서 건저한 바람이 불어오므로 강수량이 적어 강수량의 편차가 매우 큽니다. 또한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뀌고 온도가 달라지므로 기온의 연교차도 큽니다. 이런 기후를 대륙성 기후라고 합니다.
미국을 예로 들면 서부의 캘리포니아는 해양의영향을 받지만 동부의 뉴욕은 대륙의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와 비슷한 기후를 보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위도가 같아도 다른기후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는 대륙의 서안이냐 대륙의 동안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륙의 서안은 서풍대 영향으로 해양기단이, 대륙의 동안은 대륙 내부 기단이나 해양과 대륙의 경계기단이 영향을 주게 됩니다. 대륙의 서안은 한류가 영향을 줘 기온이 낮고 건조하며 대륙의 동안은 난류가 높은온도와 습함을 주게 되죠. 지구의 바람대의 영향에 의해서 나타나게 되는데 중위도의 경우 서풍대로 인해 서쪽 해안은 바다쪾에서 부는 바람을, 동쪽은 대륙 내부에서 바람이 불어와 상대적으로 건조한 환경을 가지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