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금융공기업이 부산에 위치함으로 얻는 이점이 있나요?

여러 금융공기업 재직자들은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한다는 말이 나와서 굉장히 불안하다고 합니다. 무역 관련 기업도 아닌 기업을 부산으로 이전시키려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현 정부는 특히 대구경북쪽에 인사들이 많이 방문을 하고, 침수피해때도 대구경북쪽만 갔다죠, 현재 정부 지지율이 매우 저조하기 때문에 그나마 콘크리트지지층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쓴다고 생각합니다

  • 일단 부산 입장에서는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안 그래도 일자리가 부족해서 젊은 인구가 많이 빠져나가고 있는 중입니다. 그런데 산업은행은 우리나라에서도 손꼽히는 안정적이면서도 고소득 직장입니다. 이러한 제일 좋은 일자리가 부산에 생긴다는 것 자체가 지역 입장에서는 매우 좋은 일입니다. 지역 인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외부의 고소득 인구가 부산의 터를 잡음으로써 소득이나 소비 모두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 ✅️ 사실상 이점이 없습니다. 정치권에서 표를 의식해서 이걸 옮기려고 하는 것인데(ex. 산업은행 등) 원래 금융공기업 등 소위 핵심 공기업, 금융공기업은 모두 '서울'에 위치시켜놔야 이래저래 경쟁력을 보다 확실히 다질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지역 내 공기업 등을 분산시켜 인구소멸 등을

    막고 서울경기권의 인구과열을 막으며 지방을 살리기 위한 정책의 일환입니다. 또한 지방 균형발전의 일환으로 부산은 국제금융도시로의 방향으로 발전방향을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 현재 한국자산관리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예탁결제원 등이 부산으로 이전된 상태인데요.

    지방 균형발전의 일환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던 공기업을 여러 부문으로 나눠 지방에 이전시키고 있는데, 부산은 국제금융도시로의 방향으로 발전방향을 잡고 있어서 금융공기업들이 많이 내려간 것이죠.

    이미 임직원분들 꽤 많은 숫자가 이동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건 지역간 경제 격차를 완화하고, 인재 확보 및 비용 절감이 가장 큰 이유가 될 것입니다.

  • 질문해주신 금융공기업이 부산에 위치함으로 얻는 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모든 것이 서울에 몰려있는 것을 어느 정도라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아무래도 이러한 공기업을 부산에 이전함으로써 지역균형개발 등을 꾀할 수 있기에 이러한 금융공기업 등을 이전시키려고 하는 것입니다.

  • 금융 공기업이 부산으로 이전하면 서울에 집중된 금융 산업을 분산시켜 전국적인 균형 발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산의 금융 허브화로 금융 공기업 이전을 통해 국제 금융 중심지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부산은 서울보다 생활비와 운영비가 낮아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지역 경제와 고용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