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습기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요즘 비가 많이 와서 제습기를 한대 살까하는데 문득 궁금해져서요. 제습기의 원리가 무엇인가요?? 전기도 많이 먹는다는데 뭐때문인지도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 가정용 제습기의 원리는 에어컨과 거의 유사한 공정을 거치는데요
에어컨은 냉각코일과 압축기를 이용하여 찬 바람을 만들어내는 것이라면...
냉각식 제습기는 공기를 냉각하여 습기를 응축시키는 원리를 사용합니다.
제습기 내부에는 냉각 코일이 있으며,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코일의 온도를 낮추게 되고,
낮아진 온도로 인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로 변하게 되죠...이렇게 응축된 물은 수집 트레이나 물탱크에 모이고,
건조된 공기는 다시 방출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방안에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는 제습기의 흡입에 의해 빨려들어갑니다. 그리고 제습기 내부에는 냉매가 존재하는데, 이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떨어트립니다. 공기의 온도가 떨어지면 포화수증기량(공기중에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는 정도)이 떨어지게되는데, 쉽게 생각해서 수증기(기체)를 냉각시켜 액화하여 물로 만들어 냅니다. 그러면 제습기에 들어온 공기의 수증기량이 줄어들게 되어 쾌적한 공기로 배출됩니다. 그리고 제습기 안에서 생겨난 물은 제습기 내부의 물통으로 걸러지게 되죠. 이러한 순환 과정을 거쳐 방안 공기를 쾌적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죠.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습기에는 습기를 흡수하는 재료인 흡습제 가 있습니다. 이 흡습제는 습기를 끌어들여 물에 흡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흡습제가 습기를 흡수하면, 제습기 내부의 팬이나 송풍기가 작동하여 공기를 순환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흡습제에 흡수된 습기가 제습기 내부로 흡입되고, 공기 중의 습기를 끌어내는 역할을 합니다.제습기가 습기를 제거한 후, 건조한 공기를 방출합니다. 이를 통해 제습기는 주변 공간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건조한 환경을 조성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습기의 원리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액체로 만드는 것입니다. 제습기는 보통 에어컨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에어컨은 공기 중의 열을 흡수하여 냉기를 만드는데 제습기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기를 제거합니다 제습기는 전기가 많이 소모되는 이유는 냉각을 위해 컴프레서와 팬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컴프레서는 공기 중의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압축하고 팬은 냉매를 압축하여 발생한 열을 방출합니다 그래서 제습기는 전기가 많이 소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