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만되면 코안이 자꾸 헐어버립니다
추운 겨울철만되면 자꾸 코안이헐어서 피도나고 딱지도않고 불편한데요
왜여름엔 괜찮다가 겨울만되면 헐어버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겨울에 코가 허는 이유는 낮은 기온과 습도로 인해 코 점막이 건조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코막힘, 콧물, 재채기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코가 허는 이유
낮은 기온과 습도로 인해 코 점막이 건조해집니다.
코 점막의 수분 공급이 잘 안 되어 코가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지 못합니다.
코 점막이 건조해지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세균이나 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합니다.
코 점막이 건조해지면 바이러스에 대한 자연 저항력이 감소해 감기에 더 자주 걸릴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건조한 공기와 낮은 습도로 인해 코 점막이 건조해지고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또 난방 사용으로 실내 공기가 더 건조해져 점막이 쉽게 손상되고 딱지가 생길 수 있습니다. 여름에는 습도가 높아 점막이 촉촉하게 유지되어 이런 증상이 덜합니다.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생리식염수 스프레이 등으로 코 보습을 유지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겨울철에 코 안이 헐어지는 것은 주로 건조한 환경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겨울에는 실내외 공기가 건조하고, 특히 난방으로 인해 실내 습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코 점막이 건조해지고 민감해져서 헐거나 피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건조한 환경은 점막을 보호하는 기능을 저하시켜 딱지가 잘 생기게 만들고, 상처가 생기면 회복이 더딜 수 있습니다. 여름에는 공기 중 습도가 높아 코 점막이 더 촉촉하게 유지되므로 이러한 문제가 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몇 가지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코 안이 너무 건조할 때는 생리식염수를 이용해 촉촉하게 유지하고, 보습제를 바르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코를 세게 풀거나 자주 만지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